숭실대 소재필 교수, ‘2025 한-미 군과학연구소 양자센싱 공동연구사업’ 주관연구책임자 선정

기사입력:2025-11-04 19:30:30
[로이슈 전여송 기자] 숭실대학교(총장 이윤재)는 물리학과 소재필 교수가 ‘2025년도 한-미 군과학연구소 양자센싱 공동연구사업’에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고 미군 과학연구소(AFOSR)가 공동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양자과학기술 분야에서 한·미 양국 간 협력과 공동연구 강화를 목표로 한다.

숭실대 소재필 교수를 중심으로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 응용물리학과 Gregory D. Fuchs 교수가 공동연구책임자로 참여한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양자기술연구본부의 고영호 박사와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정광용 교수가 공동연구책임자로 협력한다.

연구팀은 앞으로 3년간 약 13억 5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갈륨 나이트라이드(GaN) 스핀 결함 기반 집적형 양자센싱 플랫폼 개발’ 연구를 수행한다. 본 과제는 GaN 스핀 결함의 물리적 특성과 기원을 규명하고 스핀 결함과 광학 구조 및 CMOS 칩 결합을 통한 양자센서 응용을 목표로 한다. 이번 공모에는 국내 주요 대학과 국책연구소가 다수 참여했으며 최종적으로 숭실대와 KAIST 연구팀이 선정됐다.

또한 소재필 교수는 ‘2025년도 한-스위스 양자과학기술 공동연구사업’에도 공동연구기관 연구책임자로 선정됐다. 해당 연구는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가 주관연구책임자로 참여하며,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EPFL)의 Hatice Altug 교수 연구팀과 함께 수행된다. 연구 기간은 4년이며, 단일광자원과 메타표면을 활용한 새로운 양자광원 구현을 통해 광자 기반 양자컴퓨팅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소재필 교수는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추진하는 ‘양자과학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에도 참여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컨소시엄당 연간 약 15억 원 규모로 8년간 추진된다. 소재필 교수가 속한 컨소시엄은 아주대학교 오상원 교수를 비롯한 성균관대 서호성 교수, 고등과학원 최상국 교수, 세종대 권혁건 교수, 부산대 옥종목 교수가 참여한다. 컨소시엄은 ‘고체 점결함 얽힘 큐비트 기반 양자센싱을 통한 표준양자한계 극복 연구’를 수행한다.

소재필 교수는 “숭실대 물리학과는 양자 특성화 사업과 첨단학과 지정 등을 통해 양자과학기술 분야의 인재 양성에 힘써왔다”라며 “이번 성과는 학생들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기존 첨단 분야를 넘어 양자과학기술 연구인재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여러 연구과제를 동시에 수행하게 되어 부담도 크지만 그만큼 국내 양자정보과학 분야에 기초연구 및 인력양성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며 “주어진 과제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양자과학기술은 단기 성과보다 장기적인 인프라 구축과 인재 양성이 중요하다”라며 “이번 국제공동연구사업을 통해 국내외 연구진 간 협력을 확대하고, 양자센싱·양자컴퓨팅·양자통신 등 다양한 응용으로 이어질 원천기술 확보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76.06 ▼145.68
코스닥 894.75 ▼31.82
코스피200 560.60 ▼21.3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372,000 ▲966,000
비트코인캐시 723,000 ▲9,500
이더리움 4,943,000 ▲78,000
이더리움클래식 21,550 ▲290
리플 3,315 ▲44
퀀텀 2,530 ▲3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356,000 ▲872,000
이더리움 4,930,000 ▲61,000
이더리움클래식 21,510 ▲270
메탈 588 ▲6
리스크 265 ▲4
리플 3,315 ▲45
에이다 787 ▲14
스팀 11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380,000 ▲940,000
비트코인캐시 723,000 ▲9,000
이더리움 4,941,000 ▲77,000
이더리움클래식 21,500 ▲320
리플 3,316 ▲47
퀀텀 2,510 ▲8
이오타 193 ▲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