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인천시가 ‘천 원’이라는 상징적 단위로 시민의 삶을 바꾸고 있다. ‘천원주택’, ‘천원택배’, ‘천원의 아침밥’, ‘천원 문화티켓’ 등으로 대표되는 ‘인천형 천 원 정책’은 단순한 가격 인하를 넘어 모든 시민이 동등한 기회를 누리는 포용적 복지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9월 여론조사 기관의 주민생활 만족도 조사에서 인천은 64.6%로 전달보다 1.6%p 상승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5위를 기록했다. 또한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발표한 2025년 10월 도시 브랜드 평판 빅데이터 분석에서도 인천은 서울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시는 신혼부부와 예비신혼부부에게 하루 1,000원(월 3만 원)의 임대료로 최대 6년간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천원주택’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올해 공급 목표 1,000호 중 588가구가 이미 입주를 완료했으며, 신생아 가구에는 주택담보대출 이자(연 300만 원 한도)를 지원해 내 집 마련의 부담을 줄이고 있다. 주거 안정과 출산 장려를 동시에 실현하는 지방정부형 인구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4년 10월 ‘반값택배’에서 발전한 ‘천원택배’는 전국 최초의 공공생활물류 모델이다. 인천지하철 전 역사(60개소)에서 일반배송 1,000원, 당일배송 2,000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소상공인의 물류비 부담을 줄여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9월 기준 누적 이용 64만 건, 참여업체 6,600곳을 돌파했으며, 소상공인 매출은 평균 13.9% 상승했다. 물류비 절감뿐 아니라 친환경 운송과 노인 일자리 창출까지 더해 ‘생활경제 혁신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대학생의 결식률을 낮추기 위해 시행 중인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학생이 1,000원만 부담하고 나머지는 정부·지자체·대학이 분담하는 방식이다. 인천시는 2023년부터 이 사업을 운영하며, 학생 1인당 120g의 지역산 쌀을 현물로 지원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올해는 관내 11개 대학 23만6천여 명의 학생이 참여할 예정으로, 지난해보다 세 배 가까이 늘었다. 단순한 급식 지원을 넘어 청년 복지와 지역 농업을 잇는 대표 정책으로 꼽힌다.
2025년 10월 첫 시행된 ‘천원 문화티켓’은 인천시민이 시립예술단 공연, 프로축구 경기, 시티투어버스, 월미바다열차 등을 1,000원에 즐길 수 있는 생활문화복지 정책이다. 첫 달 예매율은 92.6%, 인천시민 이용률은 95.5%에 달했다. 내년부터는 5월(가정의 달)과 10월(시민의 달)에 맞춰 정례화돼 더 많은 시민이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게 된다. 과도한 예산 투입 없이 공공시설의 효율을 높이는 지속가능한 문화복지 모델로 평가된다.
비연육 25개 섬을 편도 1,500원에 오갈 수 있는 ‘i-바다패스’도 인천의 대표적 생활복지 정책이다. 도입 8개월 만에 이용객 56만9,943건, 관광 매출 56억 원 증가라는 성과를 거뒀다. 도서 교통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관광을 활성화한 복합형 균형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천 원은 단순한 금액이 아니라 시민에게 건네는 신뢰의 단위”라며 “누구나 같은 비용으로 핵심 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지의 수직적 평등을 넘어 수평적 형평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천 원으로 충분한 도시’, ‘모두가 누릴 수 있는 복지’를 향한 인천의 여정은 단순한 지원을 넘어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지방정부 행정의 새로운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천 원으로 충분한 도시” 인천, 생활 속 체감복지로 공정행정 실현
- 주거·문화·식생활 등 생활 속 체감 복지 누구나 공평하게- 인천시의 ‘시민행복’시정 시민과 함께 성장 … 주민생활 만족도 5위 기사입력:2025-10-28 15:08:5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221.87 | ▲114.37 |
| 코스닥 | 914.55 | ▲14.13 |
| 코스피200 | 599.03 | ▲19.57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9,725,000 | ▼315,000 |
| 비트코인캐시 | 767,000 | ▼4,500 |
| 이더리움 | 5,400,000 | ▼41,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200 | ▼210 |
| 리플 | 3,478 | ▼28 |
| 퀀텀 | 2,555 | ▼28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9,816,000 | ▼44,000 |
| 이더리움 | 5,400,000 | ▼3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230 | ▼230 |
| 메탈 | 607 | ▼2 |
| 리스크 | 278 | ▼4 |
| 리플 | 3,480 | ▼30 |
| 에이다 | 828 | ▼11 |
| 스팀 | 116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9,800,000 | ▼350,000 |
| 비트코인캐시 | 766,500 | ▼6,500 |
| 이더리움 | 5,405,000 | ▼4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200 | ▼200 |
| 리플 | 3,480 | ▼25 |
| 퀀텀 | 2,560 | ▼35 |
| 이오타 | 189 | ▼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