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지의 힘”…매매가·상승률·관리비 ‘3박자’ 갖춘 주거 트렌드

기사입력:2025-10-01 15:37:52
[로이슈 최영록 기자] 대단지는 크면 클수록 매매가격과 상승률 면에서 더욱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단지의 관리비가 소형 단지에 비해 저렴한 경향이 있어 실수요자들 사이에서는 ‘일석이조’의 주거 상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부동산R114랩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단지 규모별 3.3㎡당 매매가는 ▲300가구 미만 1302만5000원 ▲300~499가구 1399만8000원 ▲500~699가구 1562만1000원 ▲700~999가구 1623만9000원 ▲1000~1499가구 1815만4000원 ▲1500가구 이상 2462만4000원으로, 단지 규모가 클수록 평당 매매가도 높게 형성되고 있다.

매매가 상승률 역시 대단지가 두드러진다. 1500가구 이상 대단지는 2020년 상반기 대비 32.1% 상승해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으며, 이어 1000~1499가구 단지(27.7%), 700~999가구 단지(26.9%) 순으로 집계되었다.

더불어 단지 규모가 클수록 관리비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향을 보였다. K-apt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 1000가구 이상 단지의 관리비는 ㎡당 1308원으로 가장 낮았으며, 이어 500~999가구 단지는 1328원, 300~499가구는 1390원, 150~299가구 단지는 1618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업계 전문가는 "대단지는 규모의 경제 효과로 인해 매매가 상승이 두드러지고 관리비 부담까지 줄일 수 있어 실수요자들 사이에서 특히 각광받는 주거 형태다”며 “올해 상반기 통계에서도 대단지일수록 평당 가격과 상승률이 높게 나타난 만큼 연내 공급 예정인 대단지가 더욱 주목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내 집 마련을 계획 중인 수요자라면 연내 공급 예정인 대단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대우건설은 경기도 김포시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B3블록에 조성하는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를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공급되며 지하 2층~지상 29층, 12개동, 전용면적 74·84㎡ 총 1524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다. 전 세대 남향위주 배치와 더불어 96.3%에 달하는 1468가구가 채광과 통풍에 유리한 4Bay 판상형으로 설계되며, 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74㎡와 84㎡ 타입으로 구성된다. 단지의 통경축을 고려하여 설계해 답답함 없이 트인 공간감을 제공하고 단지 내에 넓은 중앙광장인 ‘시즌 필드’가 조성될 예정이다. 시즌 필드를 포함해 그리너리카페, 골프클럽, 어린이집, 독서실 등 입주민 모두가 편의시설을 즐길 수 있도록 커뮤니티도 조성될 계획이다.

두산건설은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 일원에서 ‘두산위브더제니스 구미’를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최고 39층, 9개동, 총 1372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59~152㎡P 403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구미 첫 하이엔드 브랜드 단지로 공급되는 이곳은 인근 송정초·송정여중이 도보권 내에 있어 안심 통학이 가능하며 광평중·금오고 등 인근 학교들과도 가까워 학세권 입지를 갖췄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경기도 파주시 파주메디컬클러스터 도시개발구역 A2블록(서패동 432번지 일원)에 조성하는 ‘운정 아이파크 시티’를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25개동, 전용면적 63~197㎡, 총 3250가구 규모다. 이 단지는 심학산을 비롯해 한강 조망(일부 세대)이 가능하며, 초롱꽃공원 등 녹지 공간도 가까워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다. 또 축구장 면적의 약 9배에 달하는 6만4000여㎡ 조경면적에 시그니처필드·어반클러스터·라이프가든 등 다양한 테마 정원이 조성될 예정이어서 입주민들은 단지 안에서도 쾌적함과 여유로움을 누릴 수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23.84 ▲9.15
코스닥 872.50 ▼3.27
코스피200 535.28 0.0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236,000 ▼574,000
비트코인캐시 732,500 ▼2,500
이더리움 5,903,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4,080 ▼20
리플 3,701 ▲8
퀀텀 3,01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313,000 ▼599,000
이더리움 5,908,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080 ▼40
메탈 771 ▼5
리스크 339 0
리플 3,703 ▲6
에이다 988 ▼5
스팀 14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180,000 ▼700,000
비트코인캐시 732,500 ▼500
이더리움 5,90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030 ▼60
리플 3,702 ▲10
퀀텀 3,042 0
이오타 220 ▼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