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캄보디아에서 인신매매·불법 사기센터를 운영한 범죄단지의 배후로 알려진 ‘프린스그룹(Prince Group)’의 자금이 국내 금융권에 유입된 사실이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iM뱅크가 이 조직과 직접 해외 송금 거래를 한 유일한 국내 금융사로 확인되며 iM금융 수장인 황병우 체제의 내부 리스크 통제 부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캄보디아는 황 회장이 법인 설립 과정에서 은행장 최초로 국왕을 면담하기도 한 대표 공적으로 꼽힌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경남 진주시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5개 시중은행(국민은행, 전북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M뱅크)은 프린스그룹과 총 52건, 1,970억 원 규모의 거래를 진행했다.
이 중 51건은 예금 형태였지만, iM뱅크가 진행한 1건(39억 6,000만 원)은 해외 송금이었다.
이에 국내 타 금융사들이 단순 예치금 거래에 그친 것과 달리, iM뱅크는 캄보디아 현지 법인으로 직접 송금 행위를 한 사실상 ‘자금 이동 통로’ 역할을 수행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황 회장은 2023년 6월 캄보디아를 방문해 국내 은행장 중 최초로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을 면담했다. 당시 캄보디아에 진출한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현지인 CEO를 선임해 운영중이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황병우 회장은 2023년 3월 iM금융그룹 회장에 취임하며 동시에 iM뱅크 은행장직을 겸임했다. 황 회장의 행장 임기는 2025년 12월까지로, 올 연말을 끝으로 행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문제는 황 회장이 회장·행장 겸직 체제에서 자금세탁방지(AML) 시스템과 국제거래 리스크를 사실상 방치했다는 점이다.
iM뱅크는 시중은행 전환 과정에서 디지털 확장과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내세웠지만, 그 과정에서 국제자금 흐름 통제가 무너지고 범죄조직 자금까지 유입되는 구조적 허점이 노출됐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황 회장이 내실보다 외형 성장을 강조한 결과, 리스크 관리 조직이 전략 의사결정에서 배제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iM뱅크가 프린스그룹 관련 자금을 송금한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기준상 ‘고위험국 대상 자금 거래’로 분류된다.
다른 관계자는 “단 한 건의 송금이라도 해당 거래가 범죄조직과 연계됐다면, 이는 자금세탁 의심 거래(STR)에 해당한다”며 “iM뱅크가 이를 사전 탐지·보고하지 않았다면 감독 부실을 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황 회장은 최근 임기 종료를 앞두고 “시중은행 전환과 함께 마련된 전략이 안정적으로 안착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금융권 안팎에서는 “안정보다 리스크 관리 공백이 더 커졌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사들이 단순 예금 고객이라는 이유로 프린스그룹 자금을 관리한 것은 명백한 도덕적 해이”라며 “해외 송금까지 진행한 iM뱅크는 국제자금세탁방지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정보분석원(FIU)과 금융위원회는 iM금융지주를 포함한 관련 계좌를 즉각 조사하고, 범죄 연루 가능성이 확인되면 전면 동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iM금융그룹은 현재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중심으로 차기 iM뱅크 행장 선임 절차를 진행 중이다. 황병우 회장의 퇴진 이후 강정훈 부행장·박병수 부사장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지만, 이번 사건이 향후 인사 평가에도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금융권은 전망중이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캄보디아 범죄단지 직접 송금 드러난 iM뱅크...‘캄보디아통’ 황병우 체제 리스크 직격
기사입력:2025-10-20 17:58:2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814.69 | ▲65.80 |
코스닥 | 875.77 | ▲16.23 |
코스피200 | 535.28 | ▲9.8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369,000 | ▲319,000 |
비트코인캐시 | 723,000 | ▲2,000 |
이더리움 | 6,042,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50 | ▲80 |
리플 | 3,674 | ▼17 |
퀀텀 | 3,026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340,000 | ▲231,000 |
이더리움 | 6,045,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40 | ▲50 |
메탈 | 770 | 0 |
리스크 | 342 | ▲2 |
리플 | 3,674 | ▼17 |
에이다 | 1,001 | ▲2 |
스팀 | 14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280,000 | ▲280,000 |
비트코인캐시 | 720,500 | ▼500 |
이더리움 | 6,04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40 | ▲80 |
리플 | 3,673 | ▼18 |
퀀텀 | 3,032 | 0 |
이오타 | 230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