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시행…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

국무총리 주재 ‘관광 활성화 미니정책TF’ 개최 기사입력:2025-08-06 14:56:12
김민석 국무총리.(제공=국무총리실)

김민석 국무총리.(제공=국무총리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8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광 활성화 미니정책TF’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관계부처와 관광 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관광 규제 합리화 방안 △2025 APEC 정상회의 계기 방한 관광활성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정부) 문체부 2차관, 법무부 차관, 외교부 2차관, 국조실 2차장, 규제조정실장, (국회) 오기형의원, (민간) 이경수한국관광협회중앙회회장, 이진석여행업협회회장, 하홍국마이스협회사무총장, 박종윤㈜이부커스코리아대표, (공공기관)서영충 한국관광공사 사장 직무대행, 안희자 문화관광연구원 관광정책연구실장 등이 참석했다.

먼저,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위한 핵심 관광 규제의합리화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최종 확정‧시행하기로 했다.

이번 과제는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규제 합리화 TF(팀장 : 오기형, 이하 ‘TF’)에서 신속추진 과제로 선정해 정부에 제안(8.6)한 것으로, 그동안 TF와 국무조정실을 비롯해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외교부 등 관계부처가 함께 협의해 온 사안이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그간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규제 합리화 방안을 확정하고, 관계기관 합동으로 신속히 시행해 나가기로 했다.

-첫 번째, 중국 단체 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을 올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중국은 작년 11월부터 우리 국민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바 있으며, 우리나라도 중국 국경절(10.1.~7.) 전에 한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기로 확정했다.

방한 관광시장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번 무비자 정책이 시행되면 추가 방한 수요를 유발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실질적인 내수 진작 효과가 기대된다.

-두 번째, 국제회의 참가 외국인의 입국 편의 제고를 위해 우대심사대(패스트트랙) 혜택 대상을 확대하고, 이를 정식 제도화하기로 했다.
국제회의 등 MICE[=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our), 국제회의(Convention), 전시행사와 이벤트(Exhibition&Event)] 행사 참가를 위해 방한하는 주요 외국인 대상으로 입국심사 간소화 제도를 시범 운영(‘24.10~’25.12) 중이다.

우대심사대 적용을 받을 수 있는 외국인 참가자 기준을 기존 500명 이상에서 300명 이상으로 완화하고, 시범운영 종료와 함께 ‘26년부터 정식적으로 제도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MICE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고,한국을 국제회의 최적 개최지로 자리매김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의료관광 우수 유치기관 기준에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도 추가하기로 했다.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 최근 1년간 의료관광 초청(비자) 실적이 30건 이상이거나 외국인 진료실적이 500건 이상인 외국인 환자 유치기관(병원 및 유치업자)을 의료관광 우수 유치기관으로 지정하여 혜택(▵전자사증신청권한▵재정능력입증서류제출면제▵간병인초청범위 4촌이내 방계 가족까지 확대 등)을 제공하고 있다.

유치업자의 경우 병원과 달리 진료실적이 없어 비자 실적만으로는 요건충족이 어렵다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무비자국가 환자 인정)이 500건 이상인 경우에도 우수 유치기관으로 신청할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올해 8월 중 시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2025APEC정상회의 계기 방한 관광활성화방안도 논의했다.

김민석 총리는 “2025 APEC 정상회의가 관광 활성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APEC 행사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체계화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신속히 마련하라”고 문체부 등 관계부처에 주문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25.66 ▲1.29
코스닥 815.26 ▲1.16
코스피200 436.5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626,000 ▼479,000
비트코인캐시 817,500 ▼5,500
이더리움 6,245,000 ▼101,000
이더리움클래식 30,540 ▼380
리플 4,254 ▼46
퀀텀 2,878 ▼4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699,000 ▼500,000
이더리움 6,245,000 ▼109,000
이더리움클래식 30,580 ▼370
메탈 1,008 ▼9
리스크 565 ▼5
리플 4,255 ▼48
에이다 1,302 ▼29
스팀 18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710,000 ▼450,000
비트코인캐시 817,000 ▼6,000
이더리움 6,245,000 ▼105,000
이더리움클래식 30,560 ▼390
리플 4,259 ▼39
퀀텀 2,881 ▼50
이오타 27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