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삼성전자가 연결 기준으로 분기 최대 실적인 매출 60조5600억원, 영업이익 15조6400억원의 2018년 1분기 실적을 26일 발표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1분기에는 메모리 시황 호조 지속과 무선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약 20%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조7400억원이 증가했고, 영업이익율도 6.2% 상승한 25.8%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에 의하면 부품 사업은 메모리 사업이 서버 수요 강세 등 양호한 시황이 지속된 가운데, 플래그십 스마트폰용 시스템LSI 판매 확대, 파운드리 사업의 가상화폐 채굴칩 수요 증가로 반도체 부문 실적은 증가했으나, 플렉시블 OLED 거래선 수요 감소와 LCD 경쟁 심화로 디스플레이 부문 실적이 하락했다.
세트 사업은 무선의 경우 갤럭시 S9 조기 출시와 갤럭시 S8 등 기존제품의 견조한 판매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CE 부문은 프리미엄 TV 제품 판매는 확대됐지만 중저가 TV 라인업 축소 등의 재편 작업과 생활가전의 수익성 둔화로 실적이 하락했다.
한편, 달러 대비 원화의 강세로 인해 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약 6000억원 수준의 부정적 환영향이 발생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분기는 메모리 실적 견조세는 유지되지만, 디스플레이 약세 지속, 무선 사업의 수익성 하락으로 1분기 대비 실적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부품 사업은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 수요 견조세는 지속되지만, 시스템LSI와 파운드리에서 스마트폰 부품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 감소 가능성이 있다고 삼성전자는 전했다. 삼성전자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OLED는 수익 확보에 중점을 두고, LCD는 원가 절감에 노력할 방침이다.
세트 사업은 무선의 경우 고가 수요정체에 따른 플래그십 판매둔화 와 마케팅 비용증가로 수익성은 하락할 전망이다. CE 부문은 QLED TV 중심으로 신모델 판매가 확대되고 에어컨 성수기 효과로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라고 관계자는 전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실적은 OLED 패널 공급 증가와 D램 수요 견조세 지속 등 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상반기 대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세트 사업은 프리미엄 제품(High-end) 수요 정체와 경쟁심화 등 실적 리스크가 있으나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 유지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심준보 기자 sjb@rawissue.co.kr
삼성전자, 1분기 실적 발표 “역대 최대 실적”
- 1분기 매출 60.56조원, 영업이익 15.64조원 기록 기사입력:2018-04-26 23:22:3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6.05 | ▲5.60 |
코스닥 | 806.95 | ▼2.94 |
코스피200 | 430.78 | ▲0.7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58,000 | ▲15,000 |
비트코인캐시 | 776,500 | ▲4,000 |
이더리움 | 5,147,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530 | ▼40 |
리플 | 4,383 | ▲29 |
퀀텀 | 3,18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19,000 | ▲49,000 |
이더리움 | 5,148,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510 | ▼10 |
메탈 | 1,099 | ▼5 |
리스크 | 640 | ▲1 |
리플 | 4,382 | ▲25 |
에이다 | 1,132 | ▲1 |
스팀 | 20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5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777,500 | ▲4,500 |
이더리움 | 5,150,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31,550 | ▲30 |
리플 | 4,385 | ▲30 |
퀀텀 | 3,172 | 0 |
이오타 | 28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