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몇 년새 가파른 분양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에 청약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전국 1순위 청약경쟁률 상위 10곳 중 절반이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개 단지 중 9곳이 해당됐던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쏠림 현상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지난 9월 서울 송파구 신천동에서 분양한 ‘잠실르엘’은 1순위 청약에서 110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6만 9,476명이 신청해 평균 631.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서울 서초구 ‘래미안원페를라’ 151.62대 1 △충북 청주 ‘청주테크노폴리스아테라2차’ 109.66대 1 △서울 강동구 ‘고덕강일대성베르힐’ 97.39대 1 △경기 화성 ‘동탄포레파크자연앤푸르지오’ 68.69대 1 순으로 높았다.
고분양가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의 합리적인 가격은 강력한 장점으로 작용한다. 실제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분양가는 3.3㎡당 평균 2,124만원으로 지난해 처음 2,000만원을 돌파한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5년 전인 2020년(1,395만원)과 비교하면 무려 52.26% 상승했다.
더불어 서울을 제외하면 청주테크노폴리스, 동탄2신도시 등 지역 내에서도 인기가 높은 공공택지지구에 들어서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공택지지구는 정부 주도하에 계획적으로 조성되는 만큼 다양한 생활기반 시설이 함께 들어서며, 구도심에 비해 부지의 형태가 반듯해 남향 위주의 단지 배치 및 판상형 4Bay 설계 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설계와 상품이 대다수 가구에 적용되는 점이 인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현 정부에서 10.15 대책까지 벌써 세 번째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만큼 앞으로도 대출 등에서 수요 억제책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에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이 가중되면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단지 인기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남은 하반기에도 전국에서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가 공급될 예정이어서 청약 성적에 귀추가 주목된다.
먼저 경북 김천혁신도시에서는 ‘김천혁신 동일하이빌 파크레인’이 10월 분양을 앞두고 있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3개동, 전용면적 84~113㎡ 총 349세대로 구성된다. 김천혁신도시 내에 들어서는 만큼 단지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시세 대비 합리적인 분양가로 공급된다.
수도권에서는 BS한양이 경기 김포시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B2블록에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를 11월 분양할 예정이다. 김포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은 전체 6,600여세대 규모로 BS한양은 B2블록(1,071세대)과 B1블록(639세대) 두 개 블록 총 1,710세대를 차례로 공급할 예정이다. 먼저 분양에 나서는 이번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10개동, 총 1,071세대로 조성된다.
이밖에도 DL이앤씨는 이달 서울 서초구에서 ‘아크로 드 서초’를 공급한다. 지하 4층~지상 39층, 16개동, 전용면적 59~170㎡ 1,161세대로 조성되며, 이 가운데 전용 59㎡ 56세대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DL이앤씨의 하이엔드 브랜드 ‘아크로’가 적용되며,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분양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고분양가 부담”…전국 1순위 경쟁률 톱10 중 절반 ‘분상제’ 적용
기사입력:2025-10-21 15:43:3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41.59 | ▲96.03 |
| 코스닥 | 883.08 | ▲11.05 |
| 코스피200 | 550.01 | ▲13.6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371,000 | ▼257,000 |
| 비트코인캐시 | 751,000 | ▼9,500 |
| 이더리움 | 5,876,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620 | ▼130 |
| 리플 | 3,785 | ▼10 |
| 퀀텀 | 2,957 | ▼15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425,000 | ▼373,000 |
| 이더리움 | 5,879,000 | ▼1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650 | ▼120 |
| 메탈 | 749 | ▼5 |
| 리스크 | 322 | 0 |
| 리플 | 3,784 | ▼13 |
| 에이다 | 970 | ▼6 |
| 스팀 | 134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390,000 | ▼360,000 |
| 비트코인캐시 | 751,000 | ▼10,500 |
| 이더리움 | 5,880,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650 | ▼70 |
| 리플 | 3,785 | ▼12 |
| 퀀텀 | 2,973 | 0 |
| 이오타 | 216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