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이승원 학부연구생, 고분자 다층 반사방지 필름 응용 논문 JMST에 게재

기사입력:2025-08-27 15:55:59
 (왼쪽부터) 서강대 기계공학과 이승원 학부연구생, 최지성 연구원, 강성민 교수. 사진=서강대

(왼쪽부터) 서강대 기계공학과 이승원 학부연구생, 최지성 연구원, 강성민 교수. 사진=서강대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서강대학교(총장 심종혁)는 본교 기계공학과 이승원 학부연구생이 최지성 연구원(석박사통합과정), 강성민 교수와 함께 스티커처럼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반사 방지 필름을 개발해 유연한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7월 29일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 Technology (JMST, JCR 상위 0.5%)에 온라인에 게재됐다.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는 표면에서 발생하는 빛 반사다. 특히 얇고 구부러지는 유연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FPSC)는 차세대 전자기기로 주목받고 있지만, 약 10% 이상의 입사광이 반사되어 성능 저하가 불가피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굴절률이 다른 고분자 재료를 결합해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표면에는 300나노미터 크기의 돔 형태 나노구조를 배열한 스티커형 다층 반사 방지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은 에탄올을 활용한 독창적인 분리 공정으로 손상 없이 구현되었으며, 기판에 손쉽게 부착·탈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코팅 방식과 차별성을 가진다.

개발된 필름은 유리와 고분자 기판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유연 기판 위에서는 투과율이 94.8%까지 향상되고 반사율은 5% 수준으로 낮아졌다. 이를 실제 FPSC에 적용한 결과, 단락전류밀도(Jsc)가 기존 대비 약 6% 증가했으며, 발전 효율(PCE)은 21.3%에서 22.6%로 개선됐다. 또한 1만회 이상 반복 탈부착 및 구부림 테스트 후에도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기계적 내구성이 확인됐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차세대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LED, 광센서 등 빛을 활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성능 향상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재료 분야 학술지(IF : 14.3, JCR : 상위 0.5%)에 게재됐으며, 서강대학교의 최지성 연구원, 이승원 학부연구생이 1저자로, 강성민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5.12 ▲4.29
코스닥 811.40 ▲5.98
코스피200 432.86 ▲0.5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610,000 ▲547,000
비트코인캐시 860,000 ▲4,500
이더리움 6,026,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8,470 ▲30
리플 3,961 ▲20
퀀텀 3,745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700,000 ▲578,000
이더리움 6,037,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8,470 ▲40
메탈 969 ▼1
리스크 507 ▼1
리플 3,963 ▲20
에이다 1,160 ▲6
스팀 1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740,000 ▲660,000
비트코인캐시 860,500 ▲5,000
이더리움 6,03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8,410 ▼20
리플 3,964 ▲22
퀀텀 3,762 ▲24
이오타 25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