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두산로보틱스가 피지컬(Physical) AI 시대를 이끄는 ‘지능형 로봇 솔루션’ 기업으로서의 역량 강화를 위해 글로벌 기업 인수, 전문인력 확보, 조직 개편 등 다각적인 성장 전략 실행을 본격화하고 있다.
두산로보틱스는 28일, 이사회를 열어 미국 펜실베니아주에 위치한 로봇 시스템 통합 및 첨단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원엑시아(ONExia)’의 주식 인수와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지분 89.59%(약 356억원)를 확보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원엑시아는 1984년 설립 이후 제조·물류·포장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생산성 향상과 운영 비용 절감을 이끄는 혁신적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부터 제작, 공급까지 일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북미지역에서 수요가 높은 EOL(End-of-Line, 공정의 마지막 단계) 관련 공정을 중심으로, 팔레타이징, 박스조립 및 포장 등에 특화된 협동로봇 제조 솔루션을 자체 개발함으로써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하고, 연 평균 30%에 이르는 높은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인수는 두산로보틱스가 하드웨어 중심의 기존 사업구조를 넘어, AI 및 소프트웨어 기반 지능형 로봇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가속화하는 첫 단추가 될 전망이다.
원엑시아가 보유한 고도화된 자동화 엔지니어링 기술력,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로봇 시스템 개발·통합 역량,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융합 노하우 외에도 25년간 구축해 온 자동화 데이터와 프로젝트 공급 경험은 두산로보틱스의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역량 강화 및 신규 솔루션 개발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두산로보틱스는 지능형 로봇 솔루션 및 휴머노이드 선행 기술 확보를 위해 로봇 연구개발(R&D), AI, 소프트웨어, 품질, 전략 등의 부문에서 진행해온 전문인력 채용을 마무리 중이다. 또한 AI, 소프트웨어, 휴머노이드 중심의 R&D 조직 개편과 최적의 로봇 연구개발 환경을 보유한 R&D 혁신 센터 구축도 올해 3분기 중 완료할 예정이다.
두산로보틱스 김민표 대표는 “이번 M&A는 미국 로봇 솔루션 전문 리더십, 현지 시장 공략 거점, 데이터 기반의 AI 내재화 등에서 실효적 시너지가 기대되는 만큼, 회사의 미래 가치 제고에 중요한 기점이 될 것”이라면서 "Physical AI 시대를 이끄는 지능형 로봇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조직 구조 재편, 연구개발 환경 고도화, 전략적 M&A를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앞으로도 시장 선도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두산로보틱스, 美 로봇 솔루션 엔지니어링 기업 ‘원엑시아’ 지분 89.59% 확보
기사입력:2025-07-28 18:33:5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8.73 | ▲26.99 |
코스닥 | 782.51 | ▲5.27 |
코스피200 | 428.50 | ▲4.0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906,000 | ▲157,000 |
비트코인캐시 | 825,500 | ▲2,500 |
이더리움 | 6,616,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440 | ▲50 |
리플 | 4,235 | ▲15 |
퀀텀 | 3,445 | ▼3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045,000 | ▲365,000 |
이더리움 | 6,622,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470 | ▲80 |
메탈 | 1,054 | ▼4 |
리스크 | 557 | ▲1 |
리플 | 4,238 | ▲19 |
에이다 | 1,266 | ▲2 |
스팀 | 18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990,000 | ▲270,000 |
비트코인캐시 | 826,500 | ▲4,500 |
이더리움 | 6,615,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33,550 | ▲180 |
리플 | 4,238 | ▲18 |
퀀텀 | 3,445 | ▼21 |
이오타 | 28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