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이재성)은 25일 오후 2시 부산시당 민주홀에서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이하 ‘특위’) 출범 기념 토론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AX시대, 부산의 과학기술혁신전략 방향,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를 주제로 한 이번 행사는 부산을 대한민국 과학기술 혁신의 최전선 기지로 도약시키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이수영·이철우 공동위원장 체제로 출범한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는 부산의 과학기술 생태계 강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설치됐다. 이수영 위원장은 ITU 인공지능도시위원회 전문위원이자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 위원장으로서 국제적 전문성을, 이철우 공동위원장은 엔터테인먼트, IT 전문변호사로서 법률 전문성을 갖춰 상호 보완적 리더십을 발휘하게 된다. 통상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지역위원장 또는 선출직 의원이 맡게 됨을 고려해보면 이번 인사는 능력 위주의 청년 인선이라는 평가다.
이재성 부산시당 위원장은 환영사에서 "오늘 출범하는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가 부산의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중요한 사명을 가지고 있다"며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길은 바로 과학기술 혁신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후 영상을 통해 다양한 축사가 이어졌다.
“특위가 부산의 과학적 혁신을 뒷받침하고 나아가 대한민국 발전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내주기를 바란다.”(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
"규제 샌드박스 설계, 전문 법률 컨설팅, 예산 확보 등 실질적 정책 지원을 통해 부산이 'K-테스트베드' 중심의 과학기술혁신 거점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이번 토론회가 부산의 새로운 시대를 코딩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김성회 게임특별위원회 위원장)
“기술과 혁신, 시민 참여가 함께 할 때 도시 혁신이 비로소 완성된다.”(이재강 국회의원)
“특위가 부산을 글로벌 디지털 선도 도시로 만드는 싱크탱크가 되길 바란다.”(한국인터넷기업협회 박성호 회장)
그 외 변성완 강서구 지역위원장, 박영미 중구영도구 지역위원장, 이명원 해운대을 지역위원장, 신기삼, 김태희 기초의원 등이 참석해 특위의 출범을 축하하고 토론회를 통해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특위의 고문이자 발제를 맡은 임혜숙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부산의 AI 전환 전략으로 ▲로봇 분야에서 첨단로봇 활용 서비스 스타트업 육성 ▲조선산업에서 지능형 항해시스템 및 완전자율운항선박 상용화 ▲항만 분야에서 스마트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창범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은 "부산이 물류허브에서 과학기술혁신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AI 중심 산업 구조 재편, 해양산업 빅데이터 허브 구축, 초대형 AI 빅데이터센터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좌장을 맡은 손판도 동아대학교 교수는 “부산이 해양을 뛰어넘는 과학기술혁신의 중심지로서 기능하기 위한 전략”을 각 패널들에게 질문을 던졌고, 이재성 부산시당 위원장은 “현행 법제를 고치지 않으면 AI 강국으로 나아가기 어려울 것이다. AI의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다.라는 부분에 특히 공감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양욱 부산대학교 교수는 조선공학자 입장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창출의 시대로 돌아섰기 때문에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서플라이 체인이 중요하며, 수평적 관계 형성, ICT AI가 조선공학과 융복합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했다.
배정철 전 부산시교육청 장학관은 “디지털 교육 센터를 개설하여 청년의 과학기술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대학 인재들을 스마트 융합형 인재로 육성하여 타 지역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일진 17정글 스튜디오 대표는 “과학 기술 영상을 촬영해온 경험을 통해 과학커뮤니케이터 등 과학을 친근하게 다가가게끔 하여 저변을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이를 부산의 미래 전략으로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부산이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며, 수도권 집중화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위는 AI혁신, 스마트시티, 스마트해양, 디지털전환(DX), 인재양성의 각 분과위원회를 설치해 부산에 특화된 과학기술 아젠다를 발굴하고, △BISTEP·부산시·대학 연계를 통한 부산형 R&D 허브 구축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AI 실증도시 추진 △산학연 협력을 통한 AI 인재 육성 등을 추진하면서 내년 지방선거 후보자들에게 공약을 제안하는 등의 활동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과학기술혁신특위 출범 기념 토론회 가져
기사입력:2025-09-26 11:13: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638.62 | ▲54.07 |
코스닥 | 870.05 | ▲9.56 |
코스피200 | 510.25 | ▲8.3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72,016,000 | ▲13,000 |
비트코인캐시 | 815,500 | ▼1,500 |
이더리움 | 6,342,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180 | ▲40 |
리플 | 3,902 | ▲14 |
퀀텀 | 3,243 | ▲5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72,365,000 | ▲210,000 |
이더리움 | 6,344,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200 | ▲60 |
메탈 | 832 | 0 |
리스크 | 383 | ▲2 |
리플 | 3,904 | ▲16 |
에이다 | 1,093 | ▲3 |
스팀 | 15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72,09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814,500 | ▼1,000 |
이더리움 | 6,34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180 | ▲10 |
리플 | 3,901 | ▲14 |
퀀텀 | 3,251 | ▲73 |
이오타 | 24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