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최덕경 명예교수, 19세기 중국 농서 '마수농언' 역주 첫 출간

중국 내에도 완역본은 없어 기사입력:2020-06-11 11:31:44
19세기 중국 농서 마수농언 역주 첫 출간한 부산대 최덕경 명예교수.(사진제공=부산대학교)

19세기 중국 농서 마수농언 역주 첫 출간한 부산대 최덕경 명예교수.(사진제공=부산대학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대학교(총장 차정인)는 인문대학 사학과 최덕경 명예교수가 19세기 중국 하북의 한전(旱田, 밭) 농서인 ‘마수농언’을 번역한 『마수농언 역주(馬首農言譯註)』(세창출판사, 2020.6.10.)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마수농언을 완역해 역주(번역과 주석)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에서조차 마수농언은 현대어로 완역본이 출간되지 못했다.

이 책은 청대 산서(山西) 출신인 기준조(祁寯藻, 1793~1866년)가 1855년에 간행한 농서다. 마수농언(馬首農言)의 ‘마수’는 산서성 수양현(壽陽縣)의 옛 이름이며, ‘농언’은 농업, 농촌 및 농민에 관한 다양한 기록을 모은 것이다.

존의 중국농서가 뚜렷한 경계가 없는 폭넓은 지역의 농업(기술)에 대한 서술이었던 것에 반해, 이 책은 수양현의 농업현실 전반을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격동의 19세기에 출판돼 당시 이 지역 농촌의 변모를 구체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전통의 농업과 농촌의 문화가 어떻게 계승되고 변모되는지 나타낸다.

저자인 기준조가 이 책을 발간할 무렵은 농민봉기와 열강이 침입한 내우외환의 시기였다. 향촌은 봉건착취와 소수의 인원이 상품의 가격과 이익을 독점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준조는 농업기술의 보급을 통한 생산력 증가를 도모했다.

기준조는 여느 관료와는 달리 농업을 통해 축적한 부를 최상으로 여겼으며, 부유한 자제들에게도 생산 활동을 권유해 노동과 생산과정의 귀중함을 알게 하고 그로 인해 절약을 실천하게 했다.

이 책은 화북의 ‘마수’라는 농촌지역을 미시적으로 접근해 아편전쟁과 태평천국 이후 중국 내 봉건적인 질서의 변화와 함께 교통과 상공업의 발달로 인한 곡물가의 영향이 궁벽한 농촌지역에까지 어떻게 미치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기존의 한전 농업이 19세기 변혁기에 농업과 농촌문화에 어떤 변화를 주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취했는지를 이해하는 좋은 지침서가 된다.

전체 구성은 「지세와 기후」를 비롯해 「파종과 재배」, 「농기구」, 「농언(農諺)」, 「점험」, 「방언」, 「오곡병」, 「곡물가격과 물가」, 「수리」, 「목축」, 「재난대비」, 「사당제사」, 「베짜기」와 「잡설」 등 14개 항목으로 돼 있다.

특징적인 것은 전대와는 달리 농서 속에 농업기술과 재배작물만 전하는 것이 아니라 물가, 재난대비와 제사풍속 같은 사회 현상과 오랜 지역의 농민의 경험이 농언(農諺)이란 문학으로 자리잡은 것도 잘 소개돼 있다는 점이다.

■ 최덕경 명예교수

경남 사천출생이다. 문학박사이며, 국립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명예교수이다.

중국고대사를 전공했으며, 주된 연구방향은 중국농업사, 생태환경사 및 농민생활사이다.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객원교수를 역임했으며, 북경대학 사학과 특임교수로 초빙되어 중국 고대사와 중국환경사를 강의한 바 있다.

저서로는 『중국고대농업사연구』(1994), 『중국고대 산림보호와 생태환경사 연구』(2009), 『동아시아 농업사상의 똥 생태학』(2016)과 『麗 · 元대의 農政과 農桑輯要』(3인 공저; 2017)가 있다. 역서로는 『중국고대사회성격논의』 (2인 공역: 1991), 『중국의 역사(진한사)』 (2인 공역; 2004), 『진한 제국경제사』 (2인 공역: 2019)가 있고, 최근 중국 고전농서에 주목하여 그에 대한 역주서로 『농상집요 역주』(2012), 『보농서 역주』(2013), 『진부농서 역주』(2016), 『사시찬요 역주』(2017) 및 『제민요술 역주』(2018) 등이 있다.

그 외에 한국과 중국에서 발간한 공동저서가 적지 않으며, 중국농업사, 생태환경사 및 생활문화사 관련 필자 이름의 논문이 100여 편이 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045,000 ▲88,000
비트코인캐시 522,000 ▼2,000
이더리움 2,634,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930 ▼60
리플 3,139 ▲5
이오스 1,046 ▼2
퀀텀 3,078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046,000 ▲89,000
이더리움 2,63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950 0
메탈 1,173 ▲4
리스크 772 ▲5
리플 3,138 ▲5
에이다 1,008 0
스팀 21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03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521,500 ▼1,000
이더리움 2,635,000 0
이더리움클래식 23,920 ▼20
리플 3,137 ▲5
퀀텀 3,029 0
이오타 297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