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대원(대표이사 전응식, 김두식)이 비규제지역인 김포에 11월 공급 예정인 ‘칸타빌 디 에디션’에 다채로운 특화설계를 선보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공간 활용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설계를 통해 수요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대원에 따르면 칸타빌 디 에디션 설계에서 단연 눈에 돋보이는 점은 전용면적 66㎡A 타입에서 선보이는 ‘2평의 마술’이다. 주방 옆으로 웬만한 방 크기에 버금가는 대형 알파룸을 배치했고, 중소형 평형에서는 보기 드문 4베이(Bay) 판상형 구조를 채택해 채광과 통풍을 극대화했다.
특히 대형 알파룸은 서재, 홈오피스, 아이 놀이방 등 입주민의 필요에 따라 독립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한정된 면적 안에서 최대한의 공간 효율성을 추구하는 최근 주거 트렌드를 반영했고, 84㎡는 가격이 부담스럽고, 59㎡는 너무 좁다고 느끼는 수요자들의 관심이 기대된다.
분양 관계자는 “사실상 방 하나를 더 얻는 효과”라며 “혁신적인 공간 설계를 통해 실사용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없던 공간이 생겨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2평의 마술’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84㎡ 타입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설계해 차별화를 꾀했다. 84㎡A가 ‘가족의 조화’에 초점을 맞췄다면, 84㎡B는 ‘개인의 공간’을 중시했다.
먼저 84㎡A 타입은 침실을 4개까지 구성하면서도 주방이나 거실 공간을 희생하지 않고 넓게 설계해 공간 효율성을 높였다. 84㎡B 타입은 ‘선택과 집중’ 전략을 택했다. 컴팩트한 주방 동선을 확보하는 대신, 각 방의 사이즈를 키우고 광폭 수납공간을 마련해 보다 여유로운 개인 공간을 중시하는 수요자들을 배려했다.
여기에 타입별로 ▲고급 주방 특화 플러스옵션 ‘프리미엄 키친’ ▲복도 및 주방 팬트리를 갖춘 ‘수납특화 설계’ ▲반려동물을 위한 ‘펫특화룸’ 등 다양한 플러스 옵션을 마련해 ‘나만의 집’을 꾸미는 즐거움을 더했다.
총 4개 타입(전용 104㎡A∙B, 127㎡A∙B)으로 나오는 복층형 펜트하우스 설계도 돋보인다. 일반적인 초대형 펜트하우스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내고 현실적인 면적 안에서 '하늘 위 단독주택'의 로망을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먼저 방 5개를 기본으로 구성했고, 가변형 벽체를 설치해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침실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최상층이라 윗집으로부터 받는 층간소음이 없고, 2개층이라 상부층에서 층간소음을 아래 세대에 주지도 않는다. 무엇보다 펜트하우스의 가치를 완성하는 것은 광폭 테라스다. 입주민은 이곳을 나만의 정원이나 야외 홈카페, 바비큐 파티장 등 도심 속 프라이빗한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며 격이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누릴 수 있다.
분양 관계자는 “대원은 압구정과 목동, 신도시 등 국내 대표 주거지에서 칸타빌의 브랜드 철학인 ‘Life Balance’를 구현하며 그 가치를 증명해왔으며, 이번 칸타빌 디 에디션은 이러한 경험과 철학을 집약해 김포 북변지구가 가진 미래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칸타빌 디 에디션은 경기도 김포시 북변동 224-67 일원(북변2구역 도시개발사업)에 들어서며, 지하 5층~지상 24층 9개동, 전용면적 66∙84∙104∙127㎡ 총 612가구로 조성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대원, ‘칸타빌 디 에디션’에 ‘2평의 마술’ 선보여
기사입력:2025-11-11 16:28:3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150.39 | ▲44.00 |
| 코스닥 | 906.51 | ▲22.24 |
| 코스피200 | 586.73 | ▲5.32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2,814,000 | ▼909,000 |
| 비트코인캐시 | 771,000 | ▼7,000 |
| 이더리움 | 5,122,000 | ▼4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960 | ▼420 |
| 리플 | 3,525 | ▼48 |
| 퀀텀 | 2,800 | ▼6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2,847,000 | ▼908,000 |
| 이더리움 | 5,124,000 | ▼4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990 | ▼390 |
| 메탈 | 697 | ▼13 |
| 리스크 | 456 | ▼12 |
| 리플 | 3,524 | ▼49 |
| 에이다 | 829 | ▼14 |
| 스팀 | 127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2,810,000 | ▼980,000 |
| 비트코인캐시 | 770,000 | ▼8,000 |
| 이더리움 | 5,125,000 | ▼4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040 | ▼300 |
| 리플 | 3,519 | ▼52 |
| 퀀텀 | 2,900 | 0 |
| 이오타 | 208 |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