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두,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PMIC 상용화 성공

기사입력:2025-10-21 23:38:12
[로이슈 심준보 기자] 데이터센터 특화 시스템반도체 팹리스 기업 파두가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전력관리반도체(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가 최상위 등급(Tier 1) 고객 인증 통과 및 양산을 통해 복수의 후속 제품 공급을 확정했다고 21일 밝혔다.

데이터센터용 PMIC는 GPU, DRAM, SSD 등 서버 컴퓨터 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사용해야 하는 전력을 각 반도체에 맞게 적절히 변환, 배분, 제어하는 반도체로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공급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파두는 지난 2018년 데이터센터용 SSD 컨트롤러 개발에 성공한 이후 5년여의 노력을 거쳐 다수의 글로벌 유수의 메모리 업체들과 하이퍼스케일러들의 인증을 통과해 대규모 양산 공급 중에 있다. 2022년부터는 전력효율성과 안정성이 향후 데이터센터의 핵심적인 화두가 될 것이라 판단, 2022년부터 PMIC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해 집중적인 연구개발을 이어왔다.

3년간의 노력 끝에 개발한 첫 번째 PMIC와 PLP(Power Loss Protection: 데이터센터의 순간적 정전/전력손실에서 반도체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전력반도체 제품)는 데이터센터 SSD에 특화된 제품으로 2024년 개발에 성공해 최근 글로벌 최상위 고객사의 제품인증(qualification)을 통과, 본격 양산이 확정됐다.

또한 추가로 동일 고객사를 대상으로 PMIC 4종 제품에 대한 디자인 윈 (Design Win, 제품 설계 채택)도 확보했다고 전했다. 데이터센터용 PMIC는 365일 24시간 무중단 운영 환경에서 극도로 높은 신뢰성을 담보로 운용돼야 하는 특성상 장기간의 신뢰와 성능 안정성을 확보한 극소수의 글로벌 메이저 반도체 기업들이 과점하던 상황이다.

파두 이지효 대표는 “저전력 고효율 설계철학은 팹리스로서 파두가 갖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차별점으로서 PMIC를 통해 파두의 철학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며 “대한민국 팹리스의 오랜 숙제는 한국의 탁월한 엔지니어들이 개발한 제품을 어떻게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고객의 인증을 통과해 대규모 양산까지 연결할 수 있느냐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파두는 지난 10년간의 노력 끝에 우리만의 성공 공식을 찾았다고 생각한다”며 “첫 제품인 SSD 컨트롤러가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인정받는데 까지 8년이 걸렸는데 이를 통해서 쌓은 고객들의 신뢰 덕분에 PMIC에서는 훨씬 빠르게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파두는 글로벌 데이터센터 반도체 시장에서 지속적인 혁신제품을 소개하면서 대한민국 선도 팹리스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70.06 ▼13.62
코스닥 875.28 ▼3.87
코스피200 540.17 ▼2.4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750,000 ▲155,000
비트코인캐시 727,000 ▲1,500
이더리움 5,783,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400 ▲70
리플 3,591 ▲5
퀀텀 2,89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949,000 ▲203,000
이더리움 5,787,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420 ▲10
메탈 751 ▲5
리스크 319 0
리플 3,595 ▲8
에이다 948 0
스팀 13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77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728,000 ▲3,000
이더리움 5,78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340 ▼10
리플 3,592 ▲4
퀀텀 2,905 ▲16
이오타 213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