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는 본교 김대종 경영학부 교수가 지난 8일 퍼시픽호텔에서 개최된 서울상공회의소 중구상공회 회원들에게 ‘트럼프 2기 한국생존전략’ 특강을 했다고 9일 밝혔다.
김 교수는 글로벌 정세 변화 속에서 한국 경제가 나아갈 방향과 중소기업 대응 전략을 중심으로 현실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우선주의와 미중 갈등이 확대되고 있다”라며, “수출 의존도 75%로 세계 2위인 한국 경제는 중소기업 육성, 내수경제 확대, 교역증가로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소기업이 활용해야 할 네 가지 전략으로 ▲정부 조달시장 진출 ▲온라인 쇼핑몰 활용 ▲구독경제 비즈니스 모델 도입 ▲모바일 중심의 고객 커뮤니케이션 혁신을 제시했다.
김대종 교수는 “중소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의 공공조달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한다. 온라인쇼핑은 52%에서 80%까지 증가한다. 구독경제를 통해 매월 안정적인 수입이 확정되는 수익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모바일을 통해 생산, 유통, 실시간 고객 소통이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말했다.
강연에서는 실제 성공사례 분석과 함께,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 공공시장 참여 방법, 구독 기반 수익모델의 장단점 등을 상세히 다뤄 참석한 기업인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 특강은 서울상공회의소 중구상공회 21기 CEO아카데미 회원과 지역 경제인 및 중소기업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김 교수의 전략적 통찰이 한국경제 생존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 교수는 “한국 수출국은 중국 33%, 미국 20%, 일본 6%다. 한국은 미국 중심으로 교역을 확대해야 한다. 세계 무역시장에서 중국 비중은 15%이므로, 한국은 현재보다 절반 이하로 중국 수출 비중을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 시대에 한국 안보와 경제가 큰 위기다. 김 교수는 “미국이 자국 우선주의와 패권주의로 나갈 때, 한국은 무역을 확대하고 방위산업과 조선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2025년 환율은 82% 확률로 상승중이다. 국회와 정부는 환율상승을 막기 위해 외환보유고 9,300억 달러 비축, 한미·한일통화스와프를 맺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경제는 여야가 없다. 양당이 긴밀히 협의하여 경제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 고관세 정책이 한국경제에 가장 큰 위협이다. 한국 생존전략은 미국 정부 네트워크 확대, 미국 현지 생산증가와 미국 중심 무역전환, 한국 4차 산업혁명 규제완화와 노동 유연성 확보”라고 제안했다.
트럼프 25% 관세로 한국 수출은 15% 정도 급감하며 가장 큰 위기다. 한국 자동차, 배터리, 석유화학, 반도체가 어렵다.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보다 한국기업 유출액이 2~5배 정도 많다.
김 교수는 “한국 기업이 미국, 인도, 베트남으로 공장을 옮기면서, 한국 청년취업률은 45%다. 국회와 정부는 법인세를 세계평균 21% 이하로 낮추고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며, “국회는 4차 산업혁명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가장 놀라는 것은 우버가 금지된 것이다. 우버만 허용돼도 국내에 수백만 개 일자리가 생긴다”고 제안했다.
트럼프는 일론 머스크를 정부 효율부 위원장으로 임명해 규제를 70% 철폐했다. 한국 조선업과 방위산업은 기회다. 2025년 6월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식되면 해외건설업이 크게 성장한다. 정부는 DSR규제 등을 줄이고 시장경제에 맡겨야 한다.
이창환 중구상공회 회장은 “김대종 교수의 특강 매우 좋았다. 트럼프 고관세로 2025년 한국경제가 어렵지만, 위기에 잘 대응하겠다. 구독경제와 4차 산업혁명을 적극 활용해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세종대 김대종 교수, 중구상공회 특강 '트럼프2기, 한국생존전략' 실시
기사입력:2025-05-09 23:28: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08.42 | ▲1.09 |
코스닥 | 731.88 | ▲6.48 |
코스피200 | 347.17 | ▲0.9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004,000 | ▼132,000 |
비트코인캐시 | 576,000 | 0 |
이더리움 | 3,747,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00 | ▼20 |
리플 | 3,609 | ▲8 |
이오스 | 1,239 | ▼6 |
퀀텀 | 3,616 | ▼1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826,000 | ▼234,000 |
이더리움 | 3,735,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960 | ▼40 |
메탈 | 1,280 | ▼4 |
리스크 | 814 | ▼2 |
리플 | 3,607 | ▲9 |
에이다 | 1,160 | ▲3 |
스팀 | 22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2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576,000 | ▼500 |
이더리움 | 3,747,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990 | ▲20 |
리플 | 3,610 | ▲10 |
퀀텀 | 3,626 | 0 |
이오타 | 35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