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가 한국 영화계 인재의 산실로서 위상을 다시 한번 확고히 했다.
중앙대는 22일 첨단영상대학원 학생들의 작품이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에 대거 진출했다고 밝혔다. 오는 4월 30일부터 5월 9일까지 전주 영화의 거리 일대에서 열리는 이번 영화제에는 57개국 224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은 ▲한국단편경쟁 ▲코리안시네마 ▲지역영화 쇼케이스 ▲전주프로젝트 등 다양한 섹션 및 산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어느 때보다 두드러진 존재감을 드러냈다.
한국단편경쟁 부문에는 ▲김해진 감독의 ‘불쑥’, ▲손태겸 감독의 ‘악령’이 선정되었고, 코리안시네마 단편 부문에는 ▲이정현 감독의 ‘꽃놀이 간다’ ▲남서정 감독의 ‘울며 여짜오되’ ▲소지인 감독의 ‘땜’, ▲이승재 감독의 ‘미조’, ▲김진우 감독의 ‘Lesson’이 상영될 예정이다. 코리안시네마 다큐멘터리 부문에는 ▲김일란 감독의 ‘에디 앨리스’가, 지역영화 쇼케이스 부문에서는 ▲백정민 감독의 ‘사진관블루스’가 초청됐다.
특히 지난해 ‘J 스페셜: 올해의 프로그래머’로 선정된 배우 유지태(영화영상제작 전공 박사 수료)에 이어, 올해는 배우 이정현(영화영상제작 전공)이 선정돼 눈길을 끈다. 이정현이 주연을 맡은 ‘꽃잎’(1996),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2015) ‘파란만장’(2011) 등 작품들과 함께, ‘복수는 나의 것’(2002) 등 직접 큐레이션 한 영화들이 상영된다. 첫 연출작인 ‘꽃놀이 간다’도 관객들을 만난다. 감독이자 프로그래머로 참여한 이정현의 모습은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의 융합 교육 커리큘럼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전주국제영화가 작품 제작에 실질적인 지원을 하는 전주프로젝트 부문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전주시네마프로젝트: 넥스트에디션’ 피칭 부문에는 ▲김용천 감독이 연출하고, 영화사 ‘영화적순간’의 김유경 대표가 제작한 프로젝트 ‘물고기 춤’이 선정됐으며, ‘워크인프로그레스’에는 ▲김태경 감독의 ‘우리는 해피엔딩으로 향할 수 있을까’가, ‘전주랩 2025’에는 ▲손태겸 감독의 ‘활주로’가 이름을 올렸다. 이는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의 체계적인 시스템과 산업 연계 교육의 우수성을 입증한 결과로 평가된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은 BK21 인공지능·콘텐츠 미래산업교육연구단(단장 박진완), OTT콘텐츠특성화사업단(단장 김탁훈)을 통해 학생들의 작품활동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왔다.
이창재 첨단영상대학원장은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우리 학생들과 졸업생들이 보여준 두드러진 활약은, 단순한 초청을 넘어 첨단영상대학원이 한국 영상 창작 교육의 구심점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앞으로도 창작자들이 실질적 기회를 얻고, 글로벌 현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상규 총장은 “이번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중앙대학교의 창의적 인재 양성 시스템과 예술 교육의 우수성이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며, “앞으로도 예술과 기술, 인문이 융합된 교육을 통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문화 콘텐츠 인재를 길러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작품 9편 전주국제영화제 진출
기사입력:2025-04-22 18:11:3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9.94 | ▼15.48 |
코스닥 | 715.76 | ▼10.70 |
코스피200 | 337.67 | ▼1.3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23,000 | ▲1,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8,000 |
이더리움 | 2,605,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80 | ▲20 |
리플 | 3,234 | ▲8 |
이오스 | 993 | ▲8 |
퀀텀 | 3,128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60,000 | ▲116,000 |
이더리움 | 2,606,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70 | 0 |
메탈 | 1,208 | ▼4 |
리스크 | 771 | ▲1 |
리플 | 3,233 | ▲6 |
에이다 | 1,009 | ▲1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00,000 | 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7,500 |
이더리움 | 2,603,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90 | 0 |
리플 | 3,234 | ▲6 |
퀀텀 | 3,124 | ▼13 |
이오타 | 30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