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가 글로벌 ESG 대표 평가 지표인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World)에 4년 연속 편입됐다고 17일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는 미국 S&P 글로벌이 발표하는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 지표로, 전 세계 유동시가총액 상위 상장사 2500여 곳 중 경제적 성과 및 ESG 성과 상위 10% 내 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1년 이래로 4년 연속 월드 지수에 편입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환경 부문(Environmental)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협력업체, 물류 등 밸류체인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배출량(Scope 3)에 대한 감축목표를 상향하는 등 탄소 중립(Net Zero)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으며, 생명과학 서비스 분야 내 상위 1%에 해당하는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11월, 2050년 넷제로 목표 선언 및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사업장 운영 및 제조 에너지를 매년 지속적으로 절감하고 있으며, 태양광 에너지 사용, 재생에너지 구매 등 친환경 사업장 구축을 위한 인프라 개선 성과를 내고 있다. 
또한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관련재무공시 협의체) 보고서를 통한 위험 및 기회 분석, SMI(Sustainable Markets Initiative, 지속가능시장계획위원회) 참여 등 글로벌 기후 위기 대응 이니셔티브 참여를 확대하고, 동시에 수자원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오염물질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 등 자연자본(TNFD)에 기반한 관리 전략을 수립했다. 
사회(Social) 부문에서는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최초로 PSCI (Pharmaceutical Supply Chain Initiative)에 가입 했으며, 이에 따라 PSCI의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를 위한 원칙' 및 유럽 지속가능성보고표준 (ESRS) 등에 따라 자체 인권 영향평가를 실시해 잠재적 리스크를 파악하는 등 인권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지배구조(Governance) 부문 및 경제(Economic) 부문에서는 선임 사외이사제도 도입을 통해 이사회 독립성 및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고, 이사회 운영 효율화를 위해 개선과제를 발굴하고 있다. 또한, 확대되는 글로벌 ESG 평가 기준에 따라 리스크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년 연속 DJSI 월드지수에 편입된 것은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이 전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있다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노력들이 제약바이오 산업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삼성바이오로직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 4년 연속 편입
기사입력:2024-12-17 17:18: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121.74 | ▼100.13 | 
| 코스닥 | 926.57 | ▲12.02 | 
| 코스피200 | 581.94 | ▼17.09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4,033,000 | ▼147,000 | 
| 비트코인캐시 | 732,000 | ▼5,500 | 
| 이더리움 | 5,191,000 | ▼2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780 | 0 | 
| 리플 | 3,339 | ▼31 | 
| 퀀텀 | 2,559 | ▲1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4,093,000 | ▼42,000 | 
| 이더리움 | 5,193,000 | ▼2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720 | ▼40 | 
| 메탈 | 597 | ▲1 | 
| 리스크 | 270 | 0 | 
| 리플 | 3,341 | ▼28 | 
| 에이다 | 795 | ▼3 | 
| 스팀 | 113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3,980,000 | ▼90,000 | 
| 비트코인캐시 | 732,000 | ▼3,000 | 
| 이더리움 | 5,195,000 | ▼2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610 | ▼220 | 
| 리플 | 3,337 | ▼32 | 
| 퀀텀 | 2,529 | ▼31 | 
| 이오타 | 185 | ▼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