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경륜계 지존 임채빈으로 대표되는 수성팀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지난해 전무후무한 89연승의 대기록을 작성한 임채빈은 올 시즌 24개 경주에 출전해 전승을 기록하며 여전히 무패가도를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내용 또한 명불허전이다. 화끈한 자력승부 능력은 여전하고 독보적인 기량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매 경주 집중력 또한 빈틈이 없다. 한 치의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 벨로드롬에선 그야말로 완벽주의자로 통한다.
문제는 그가 속한 수성팀이다. 수성팀은 그동안 지역팀 기준으로 볼 땐 무명이고 변방에 불과했었다. 경륜 시행 후 무려 25년간 단 한 번도 반짝인 적이 없었을 정도다. 하지만 최근 무섭게 달라졌고 또 계속해서 진화중이다.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전통의 강호로 꼽히는 수도권 중에서도 간판인 김포 동서울 못지않다는 평가다. 왜일까?
◆ 임채빈 효과
그동안 특선 또는 대상경주마다 들러리에 불과했던 수성팀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의 8할 이상은 역시 임채빈의 몫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만 가도 훈련이 될 만큼 독보적 기량을 갖춘 임채빈의 진두지휘아래 경륜에 임하는 정신자세부터 훈련량, 방법까지 모든 것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팀원들까지 대우가 달라진 것도 동기부여가 됐다. 입소 후 그동안 잘 눈에 띄지 않던 수성팀 멤버들에게 이젠 타 지역 선수들이 먼저 찾아와 인사를 건넬 정도다. 겨우내 광명에 캠프를 가장 일찍 차려놓고 가장 많은 땀을 흘린 팀도 수성팀이다. 노력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는 말이 올 시즌 내내 증명되고 있다.
◆ 자력 승부 능력 배가로 다양한 무기 갖춰
수성팀이 더욱 특별해 보이는 점은 단순히 상위권 선수들이 많아서가 아니다. 물론 팀원 22명중 무려 90% 이상이 우수 특선급인 점도 타 팀과는 비교할 수 없는 요인이지만 팀원 전체가 선행과 젖히기가 가능한 자유형 선수들이기 때문이다.
전체 경륜선수 중 마크 추입형이 무려 70%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정말 놀라운 수치가 아닐 수 없다. 그동안 마크 추입에 의존하던 선수들도 체질 개선과 함께 요즘은 선행과 젖히기를 맘껏 구사중이다.
특히 임채빈의 전매특허로 꼽히던 초주 선행 후 버티는 작전을 손경수, 임유섭같은 이외 선수들까지 보여주며 무력 시위중이다. 마치 임채빈의 특별한 노하우를 전수받은 느낌도 든다.
전술이 다양하다는 것은 경쟁자에 비해 소지한 무기가 한두개 더 있는 셈인데 각질의 변화 또는 지구력 유지를 위해 얼마만큼 많은 노력을 하는지 또한 짐작케 한다.
◆ 미래까지 밝다! 젊은피 수혈도 지역 최다
훈련원을 졸업한 꿈 많은 신인들은 이왕이면 강팀에 들어가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임채빈 그리고 팀원들의 활약 탓에 수성팀은 올 시즌 27기중 가장 많은 인원을 보강했다. 전체 18명중 5명인데 이중엔 수석 졸업인 손경수를 비롯해 선발에서 특선까지 수직상승한 임유섭까지 포함돼있다.
이외 김두용, 이성록도 우수급을 넘어 특선급 진입이 기대되는 유망주로 평가받을 정도다. 이들은 팀 내 전력의 극대화는 물론 분위기에 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전통의 명문팀은 대부분 신구가 조화를 잘 이뤘다. 미래도 밝다.
전문가들은 이구동성 수성팀이 강팀의 필수 조건을 갖춘 즉 내실을 더욱 공고히 함으로서 현재 약점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런 조건을 갖췄음에도 아직 동료 선수들 그리고 팬들의 뇌리엔 임채빈만 기억할 뿐 팀원들이 저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은 아쉽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경륜처럼 게임의 요소가 강한 종목에선 단순히 성적 못지않게 자신들을 좀 더 크고 단단하게 포장하는 즉 이미지 메이킹도 중요한데 이 부분이 다소 부족하다는 점이다.
예상지 최강경륜 박창현 발행인은 “결국 시간이 해결해주겠으나 좀 더 굵직굵직한 경기에서 임팩트 있는 경기 내용과 라이벌 팀과의 대결에서 좀 단결되고 조직력 있는 모습을 선보여야 비로소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경륜, 더욱 강하고 단단해진 '수성팀'
기사입력:2023-05-29 15:19:2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4,677,000 | ▲505,000 |
비트코인캐시 | 501,500 | ▲500 |
이더리움 | 2,584,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60 | ▲30 |
리플 | 3,038 | ▼6 |
이오스 | 1,018 | ▲3 |
퀀텀 | 2,996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4,662,000 | ▲439,000 |
이더리움 | 2,585,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20 | ▲90 |
메탈 | 1,121 | ▼5 |
리스크 | 717 | ▲0 |
리플 | 3,039 | ▼5 |
에이다 | 943 | ▲2 |
스팀 | 20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4,630,000 | ▲580,000 |
비트코인캐시 | 498,400 | ▼2,600 |
이더리움 | 2,584,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10 | ▼160 |
리플 | 3,038 | ▼4 |
퀀텀 | 3,040 | 0 |
이오타 | 29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