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회재 의원, 공공임대아파트 분양전환 시스템 개선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안 발의

기사입력:2021-12-08 20:02:21
[로이슈 안재민 기자] 8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전남 여수을)은 분양전환가격 산정 방식을 개선하고, 허위감정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의 '공공주택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2건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국가를 믿고 공공임대에 입주한 국민들의 고통을 방임해서는 안된다”며 “10년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내쫓는 악의적 고분양가 산정을 제도적으로 방지해야 한다”고 발의 이유를 설명했다.

현행법은 감정평가법인이 법령을 위반하여 감정평가를 하더라도, 이의신청을 단 한 차례만 할 수 있고, 감정평가를 잘못한 경우에도 이의신청자가 그 비용을 부담하도록 되어 있어 비합리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개정안은 관계 법령을 위반하는 등으로 인해 분양전환가격을 재평가할 경우 재평가 횟수를 현행 한 차례에서 세 차례로 확대하고, 귀책자가 비용을 부담하도록 했다.

공공임대주택 분양전환가격을 평가하는 감정평가사에 대한 책임도 강화했다.

먼저 감정평가사가 공공임대주택 분양전환가격을 평가할 때 금품 수수 등 불법행위를 한 경우 공무원처럼 처벌하는 공무원 의제규정을 신설했다. 이에따라 감정평가사가 건설사 등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부정한 행위를 한 때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진다.

김 의원은 “공공임대주택 분양전환가격 산정은 국가로부터 위임을 받고 진행하는 공공 업무”라며 “업무수행을 할 때 공정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무원 의제 조항을 신설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법령을 위반하거나, 부당한 방법 등으로 허위나 잘못된 감정평가를 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는 벌칙 규정도 신설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개정안은 분양전환가격을 건설원가와 감정평가금액을 산술평균한 가액으로 하도록 그 산정근거를 법률에 명시했다.

또한 분양전환 전에 안전진단기관에 의뢰하여 해당 주택에 대한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보수되지 않은 하자 등에 대해서는 분양전환가격을 산정할 때 이를 반영하도록 했다.

이에 더해 만약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하자를 보수한 이후 분양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임차인의 주거권 및 재산권을 보장했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75.28 ▲121.52
코스닥 886.01 ▲9.20
코스피200 576.19 ▲18.2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48,000 ▲23,000
비트코인캐시 748,500 ▼2,000
이더리움 5,383,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220 ▲170
리플 3,654 ▲66
퀀텀 2,924 ▲2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502,000 ▲207,000
이더리움 5,38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190 ▲110
메탈 699 ▲3
리스크 309 ▲3
리플 3,652 ▲62
에이다 873 ▲7
스팀 12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17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749,500 ▲1,000
이더리움 5,38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180 ▲130
리플 3,652 ▲65
퀀텀 2,902 ▲22
이오타 213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