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2017년 이후 최근까지 군에서 8건의 총기 절취·분실 사고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더불어민주당 용인시을)이 각 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 9월까지 최근 5년간 군에서 8건의 총기 절취·분실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절반은 회수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육군에서는 총 4건의 총기 절취 사건이 발생했다. 2017년 모 일병은 상급자를 골탕 먹일 목적으로 권총과 실탄 10발을 절취하였다 적발되었다. 이듬해에도 일병이 상급자에 대한 불만으로 권총을 절취한 사건이 일어났다. 2019년에는 모 중위가 소총 1정과 실탄 10발을 절취하였다가 적발되었으며, 2020년에는 모 대위가 권총 1정을 절취하여 차량에 은닉하다 적발되었다. 다행이 이들이 절취한 총기와 실탄은 모두 회수되었다.
해군과 해병대에서는 3건의 해상작전·훈련·경계 중 해상유실 사건이 일어났다. 2017년에는 해군 중사가 해상 임무 중 권총 1정과 실탄 10발을 유실했다. 2018년에는 해병대 병장이 고속단정에 탑승해 해상경계 임무 중 K-1소총을 유실했다. 2020년에는 해병대 하사가 고속단정 출동 훈련 중 멜빵 고리가 빠지며 해상에 K-2소총을 유실했다.
해상에 유실된 총기 3정은 모두 회수되지 못했다. 2020년 해병대 K-2소총 유실 당시에는 유실 총기를 찾기 위해 수중수색을 벌이던 해병대 원사가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공군의 경우 2020년 M16-A1 소총이 분실된 후 현재까지 회수되지 못하고 있다. 산악지역에 위치한 공군 모 관제부대 상사가 총기 점검을 위해 무기고를 개방하였다가 점심 식사를 이유로 방치해 둔 사이 M16-A1 소총 1정이 사라지는 일이 일어났다.
공군은 해당 상사에게 정직 1월의 징계를 내리고 수사를 벌이고 있으나, 분실된 총기는 현재까지 회수하지 못했다.
김민기 의원은 “군 총기 분실은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보다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공군은 철저히 수사를 하여 분실 총기를 반드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軍 최근 5년간 총기 절취·분실 8건, 절반은 미회수
기사입력:2021-10-03 09:48:2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6.05 | ▲5.60 |
코스닥 | 806.95 | ▼2.94 |
코스피200 | 430.78 | ▲0.7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237,000 | ▲221,000 |
비트코인캐시 | 822,500 | ▲500 |
이더리움 | 5,233,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530 | ▲50 |
리플 | 4,395 | ▲20 |
퀀텀 | 3,213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91,000 | ▲236,000 |
이더리움 | 5,228,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530 | ▼40 |
메탈 | 1,114 | ▼6 |
리스크 | 662 | ▲0 |
리플 | 4,390 | ▲17 |
에이다 | 1,129 | ▲2 |
스팀 | 20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210,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824,000 | ▼500 |
이더리움 | 5,23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460 | ▼60 |
리플 | 4,395 | ▲18 |
퀀텀 | 3,182 | 0 |
이오타 | 29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