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핵심 부품 소형화·경량화…가성비 높은 민간 우주 개발 현실화

기사입력:2021-03-23 19:54:48
[로이슈 편도욱 기자] 우리나라의 첫 ‘차세대 중형위성’이 지난 22일 발사·교신에 성공했다.

이번 성공의 의미를 한마디로 하면 ‘우주 개발 상업화 가능성 첫 확인’이다. 발사체와 탑재체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줄이면서다. 아리랑 3A호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크기를 절반(2.0m×3.8m→1.4m×1.55m)으로 줄였다. 무게도 600㎏(1100㎏→500㎏)이나 가벼워졌다. 최근 세계 우주 개발은 위성을 얼마나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느냐의 경쟁이다. 그래야 돈이 되기 때문이다.

한화시스템(대표이사 김연철)은 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개발한 광학 탑재체의 카메라 제어부, 초점면 전자부 등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500㎏급의 위성을 만들기 위해 탑재체를 150㎏으로 소형화·경량화했다.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위성의 성능과 가성비를 높이는 데 민간 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정부가 이끌어가는 우주 개발이 아닌 민간 주도 우주 개발이 첫 발을 뗀 것으로 본다. 이것은 세계적 추세”라고 말했다.

민간 우주 개발 ‘뉴 스페이스’ 성공 열쇠 가운데 하나가 ‘소형화·경량화’다. 미국의 스페이스X 의 CEO 일론 머스크는 “200㎏대 소형 위성 1만3000개를 쏘아 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작고 많은 위성을 이어 전 세계에 초고속 위성 인터넷망을 구축하겠다는 ‘스타링크’ 계획이다.

이번에 우리가 발사에 성공한 차세대 중형위성은 소형 위성으로 가는 중간 단계다. 방 교수는 “우주 개발 사업이 정부에서 민간으로, 대형 위성에서 소형 위성으로 가는 발전 단계에 있다”고 평가했다.

한화시스템은 지금도 위성의 소형화·경량화를 진행 중이다. 본체와 탑재체를 더해 100㎏도 안 되는 초소형 SAR(고성능 영상레이더) 위성의 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19.41 ▼126.03
코스닥 772.79 ▼32.45
코스피200 420.72 ▼17.8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815,000 ▼95,000
비트코인캐시 752,000 ▲7,000
이더리움 4,905,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7,620 ▲50
리플 4,099 ▼4
퀀텀 2,837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882,000 ▼117,000
이더리움 4,905,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7,620 0
메탈 985 ▼2
리스크 563 ▼4
리플 4,102 ▼5
에이다 995 ▼3
스팀 1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87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752,000 ▲7,000
이더리움 4,910,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7,700 ▲50
리플 4,104 ▼2
퀀텀 2,819 0
이오타 251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