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한국유나이티드제약(대표 강덕영)이 최근 임상1상 IND 승인을 받은 천연물 유래 항암제 신약 PLK-1(Polo-Like Kinase-1) 저해제의 임상을 준비하는 동시에 미국 기술 이전을 논의 중이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지난 2017년 PLK-1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특허기술을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이전 받았다. 용도는 호르몬 저항성 종양 또는 항암제 저항성 종양 예방 및 치료, 타목시펜 저항성 유방암 표적 치료용이다.
보건복지부 국책과제인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비임상시험을 완료했고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1상 IND 승인을 받아 곧 임상시험에 돌입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다수의 해외 특허를 출원했으며, 현재 미국의 유명 항암제 전문 제약사와 기술이전을 논의하고 있다.
PLK-1 저해 활성 물질은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PLK 종류 중 하나인 PLK-1은 증식 중인 성체 조직과 분열 중인 세포에서만 발현되는 키나아제 단백질이다. 암 조직에서 PLK-1의 높은 발현 양은 암의 증식뿐만 아니라, 전이, 악성화와도 관련이 있어 PLK-1 저해를 통한 암 치료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유방암은 2018년 전 세계 암 발생률 기준 12.3퍼센트로 1위(폐암과 공동 1위)를 기록하는 등 신생 환자의 비율이 높다.
악성종양 요양급여비용 지출액(국내기준)을 살펴보면, 유방암 지출액은 2019년 1분기 879억 원에서 2020년 1분기 1,062억 원으로 증가했다. 1년 사이 20.8퍼센트가 올랐고, 2020년 악성종양 요양급여비용 지출 중 세 번째로 높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 관계자는 “유방암 의료비용 지출 증가는 국가 재정에도 많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PLK-1 저해 활성 물질은 특히 치료가 어려운 호르몬 저항성 유방암의 진행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세대 유방암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천연물 항암제 신약 IND 승인, 미국 기술이전 논의
기사입력:2020-12-22 12:02:4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558,000 | ▼49,000 |
비트코인캐시 | 658,000 | ▲4,000 |
이더리움 | 3,476,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50 | ▼40 |
리플 | 3,051 | ▲7 |
퀀텀 | 2,711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539,000 | ▼134,000 |
이더리움 | 3,476,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70 | 0 |
메탈 | 921 | ▼4 |
리스크 | 522 | ▲2 |
리플 | 3,048 | ▲1 |
에이다 | 792 | ▼4 |
스팀 | 17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670,000 | ▼160,000 |
비트코인캐시 | 659,000 | ▲6,000 |
이더리움 | 3,476,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10 | ▼140 |
리플 | 3,051 | ▲5 |
퀀텀 | 2,764 | 0 |
이오타 | 21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