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미래생활㈜이 제공한 소비자조사 자료에 의하면 화장지 구매고객의 약 59%는 30롤 제품을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30일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24롤제품이 26%로 두 가지 형태의 제품을 주로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40~50대는 30롤 이상의 대용량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도 보여 진다.
구매주기는 2달 이내가 37%수준의 응답을 보여 화장지 한 팩에 대한 사용주기를 파악해볼 수 있으며, 30롤 기준으로 환산해볼 경우 1롤을 사용하는데 보통 2일정도가 걸린다고 볼 수 있었다.
3인가구를 기준으로 년간 약 186롤의 화장지를 사용한다고 추정해볼 수 있으며, 30미터30롤 제품이라고 가정하면 약 5,580미터의 화장지를 1년동안 사용하는 것이다.
가구구성원수가 많을수록 구매주기도 짧아지는 경향을 보여 화장지 사용량이 1~2인가구에 비해 3~4인이상 가구가 많다고 볼 수 있다.
화장지를 주로 구매하는 채널에 대해서는 대형마트가 27.9%로 가장 많았지만, 2016년부터 결과를 보았을 때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전체적으로 오프라인 구매채널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올해에는 코로나 여파, 재난지원금 등의 이슈로 동네슈퍼, 편의점이 강세를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구매채널은 대형마트에 이어 소셜커머스(22.2%), 오픈마켓(15.6%) 등의 온라인 구매처가 뒤를 이었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온라인 구매가 전체 구매의 51.2% 응답을 보여 오프라인 구매를 넘어섰다.
특히 30~40대에서 온라인 구매응답이 오프라인 구매응답보다 높고, 20대에서는 반대로 오프라인 구매응답이 높은 부분이 눈길을 끈다.
화장지 구매기준에 대한 질문에는 <가성비가 좋은 제품이라서>라는 응답이 26.4%로 1위를 차지했고, 뒤를 이어 <3겹 제품이라서> 22.4% <행사를 해서> 21.7%로 2020년에는
특히 가격적인 부분에 민감한 소비 트렌드를 엿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원래 쓰던 브랜드라서>(16.9%), <도톰한 제품이라서>(13.9%) 등이 구매이유에 대한 응답으로 나타나면서 저 관여제품으로 알려진 화장지 카테고리지만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 품질에 대한 프리미엄 등이 중요한 구매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미래생활㈜은 “매년 소비자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올해의 소비 트렌드는 어떤지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소통하고 싶어 인포그래픽을 구성했다.”며 “특히 20년에는 코로나로 모두가 힘든 시기였던 것들이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것 같다. 앞으로도 가성비 좋고 도톰한 제품으로 고객들의 위생생활이 좀 더 편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전 제품이 무형광 화장지로도 유명한 잘풀리는집은 소비자들이 화장지에서 중요하게 느끼는 품질속성이 부드러움 이외에도 도톰함, 신뢰 받을 수 있는 품질을 위해 화장지 생산 시 원단을 10% 이상 더 투입하여 제품을 생산하며 전 생산공정에 시간당 약 168,000m2 공기흡입용량을 갖춘 최신식 집진설비를 운영하는 등 끊임없는 품질개선 노력을 더하고 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국내 화장지 구매자, 30롤 3겹 제품 2달에 한번 온라인 구매
기사입력:2020-11-30 18:01:3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090,000 | ▼7,000 |
비트코인캐시 | 667,000 | ▲3,000 |
이더리움 | 3,447,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20 | ▲30 |
리플 | 3,033 | ▲6 |
퀀텀 | 2,670 | ▲1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76,000 | ▼24,000 |
이더리움 | 3,445,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30 | ▲40 |
메탈 | 915 | ▲2 |
리스크 | 513 | ▲0 |
리플 | 3,035 | ▲7 |
에이다 | 787 | 0 |
스팀 | 17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20,000 | ▼10,000 |
비트코인캐시 | 666,000 | 0 |
이더리움 | 3,445,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50 | ▲60 |
리플 | 3,033 | ▲5 |
퀀텀 | 2,647 | 0 |
이오타 | 21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