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는 실감콘텐츠의 현주소와 미래를 다루기 위한 ‘실감콘텐츠 콘퍼런스(Content X Stage)’ 3부작을 27일부터 방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감콘텐츠 콘퍼런스는 ‘초시대, 콘텐츠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주제로 코로나19로 앞당겨진 신기술의 확산과 국내 콘텐츠산업 내 적용 방향성을 논하기 위해 마련됐다. ▲1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2부 인공지능(AI) ▲3부 미디어아트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특히 이번 콘퍼런스는 인공지능(AI)의 메카로 꼽히는 캐나다 몬트리올의 신기술·콘텐츠 액셀러레이터인 허브 몬트리올(HUB Montréal)과 공동 기획해 전문성을 더했다. 뿐만 아니라 모더레이터로 고찬수 PD(한국PD연합회장)이 나서 국내 패널들과 글로벌 연사들의 강연을 어우른다.
27일 1부 방송에서는 에미(Emmy)상을 수상한 바 있는 세계적인 실감콘텐츠 제작사 펠릭스&폴 스튜디오(Felix&Paul Studios)의 스테판 리투이트(Stephane Rituit) 대표가 강연에 나서며,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콘텐츠 제작 시 매력적인 스토리텔링 방식에 대해 공유한다. 리투이트 대표는 실제 국제우주정거장(ISS)를 360도 VR로 촬영한 영상 ‘The ISS Experience’의 프로듀서로, 우주에서 느끼는 기쁨, 경이로움 등의 감정을 실감콘텐츠로 몰임감 있게 표현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신중경 팀장(LGU+ VR콘텐츠팀) ▲전우열 대표(벤타VR)가 패널로 참여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오는 28일 2부 방송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AI)을 주제로 캐나다 로보틱스 네트워크(NSERC Canadian Robotics Network) 소장인 그레고리 듀덱(Gregory Dudek) 교수가 강연을 펼친다. 듀덱 교수는 캐나다의 하버드라고 불리는 맥길 대학교(McGill University)의 석좌교수로, 콘텐츠 제작 시 로봇공학과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 사례와 더불어 미래 콘텐츠산업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뿐만 아니라 저서 ‘AI비즈니스’로 유명한 ▲권오병 교수(경희대 경영학과/빅데이터응용학과)와 ▲윤종영 센터장(AI양재허브센터)이 패널로서 인공지능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오는 29일 3부 방송은 미디어아트를 주제로, 지난 2018년 아모레퍼시픽미술관 개관전의 ‘디시전 포레스트(Decision Forest)’를 기획한 라파엘 로자노 헤머(Rafael Lozano-Hemmer) 작가가 미디어아트와 공공예술을 통해 실감콘텐츠와 예술이 전하는 의미에 대해 이야기한다. ‘2019 DDP 서울라이트’의 총감독 ▲민세희 교수(서강대 아트&테크놀로지과)와 ▲양민하 교수(서울시립대 디자인전문대학원)가 패널로 참여해 미디어아트를 통해 실감콘텐츠의 미래를 조망한다.
이번 실감콘텐츠 콘퍼런스 방송은 ‘온:한류축제(ON:Hallyu Festival)’의 일환으로 기획·제작 됐으며, 27일부터 오는 29일 밤 10시에 SBS CNBC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모바일로는 SBC CNBC, 웨이브(wavve), 티빙(TVING)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 가능하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콘진원, 실감콘텐츠 콘퍼런스(Content X Stage) SBS CNBC서 방영
기사입력:2020-11-27 17:53:3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748,000 | ▼98,000 |
비트코인캐시 | 527,000 | ▼1,500 |
이더리움 | 2,616,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00 | ▼40 |
리플 | 3,158 | ▼4 |
이오스 | 1,037 | ▲17 |
퀀텀 | 3,121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605,000 | ▼253,000 |
이더리움 | 2,617,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90 | ▼80 |
메탈 | 1,188 | ▲1 |
리스크 | 778 | ▼2 |
리플 | 3,158 | ▼5 |
에이다 | 1,000 | ▼2 |
스팀 | 219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65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0 |
이더리움 | 2,616,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90 | ▼80 |
리플 | 3,157 | ▼7 |
퀀텀 | 3,160 | 0 |
이오타 | 30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