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테라젠이텍스(대표 고진업, 류병환, 황태순)는 제약과 유전체 사업부문을 분할, 비상장 법인인 ‘테라젠바이오(가칭)’를 신규 설립하기로 확정했다고 3월 26일 밝혔다.
테라젠이텍스는 이날 경기도 안산 본사 인근에서 제30기 주주총회를 개최, 물적분할을 비롯해 류병환, 황태순 대표이사 재선임과 제무제표 승인 등 5개 안건을 의결했다.
테라젠이텍스는 지난달 27일 이사회를 통해 단순∙물적분할 방식의 법인 분할을 결의하고, 이를 정기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했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 분할계획서가 승인됨에 따라, 존속하는 제약 사업부문이 신설되는 테라젠바이오 주식 100%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법인 분할을 진행하게 된다. 분할 기일은 2020년 4월 30일이다.
테라젠이텍스의 양 사업부문은 2010년 합병 당시부터 별도 사옥에서 각자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었기 때문에 분할에 따른 구조적 변화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테라젠이텍스 관계자는 “이번 분할로 재무적 리스크를 분산해 안정적인 재무제표를 유지하면서도, 공격적 투자 유치 등으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혁신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각 사업부문이 확고한 비전 속에서 전문성 있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으며, 책임경영이 강화되고, 신규 사업 추진도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테라젠이텍스 측은 덧붙였다.
분할 이후 제약 사업부문은 기존의 의약품 생산, 유통 사업을 캐시카우 삼아, 합성의약품 분야를 중심으로 루게릭병 및 바이러스 질환 치료제 등 신약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유전체 사업부문은 10년간 축적한 유전체 분석 기술력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및 신생항원(NeoAntigen) 등을 활용한 신약 개발과 맞춤형 항암 치료 연구를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앞으로도 양 사업부문은 모기업과 자회사로서의 지배구조 및 연구개발 분야 협력 관계는 공고하게 유지할 방침이며, 특히 A.I.(인공지능) 및 유전체 활용 신약 개발과 그룹 전략 및 기획 업무 등은 공동 추진하게 된다. 비상장 법인이 되는 테라젠바이오는 재무적 파트너와 협력해 파이프라인 연구를 진척시키고 기업 가치를 향상시켜 코스닥 시장에 재상장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분할로 자산과 자본 등은 변동되지 않으며, 최대주주의 소유 주식과 지분율, 발행 주식 총수, 연결재무제표 등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테라젠이텍스, 바이오 자회사 신설… 주주총회 승인
기사입력:2020-03-26 16:52:0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7.76 | ▲1.15 |
코스닥 | 722.11 | ▲4.87 |
코스피200 | 338.49 | ▼0.2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015,000 | ▼213,000 |
비트코인캐시 | 534,000 | ▲12,000 |
이더리움 | 2,671,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80 | ▲200 |
리플 | 3,212 | ▲5 |
이오스 | 1,020 | ▲15 |
퀀텀 | 3,205 | ▲1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064,000 | ▼270,000 |
이더리움 | 2,670,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90 | ▲210 |
메탈 | 1,222 | ▲7 |
리스크 | 792 | ▲1 |
리플 | 3,213 | ▲4 |
에이다 | 1,031 | ▲9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090,000 | ▼9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11,500 |
이더리움 | 2,669,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00 | ▲200 |
리플 | 3,215 | ▲6 |
퀀텀 | 3,190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