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무선 통신과 위치 추적 모듈 및 칩 분야의 선도기업인 유블럭스(SIX:UBXN)는 오늘 SARA-R410M-73B 모듈이 한국 SK 텔레콤의 LTE-M 네트워크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이 모듈 제품은 스마트 검침, 텔레매틱스, 자산 및 차량 추적, 보안 시스템, 건물 자동화, 스마트 조명 솔루션, 커넥티드 헬스 분야 등 각종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을 광범위하게 지원가능하다.
유블럭스 서비스/보안 부문 책임자인 에릭 하이저(Eric Heiser)는 “유블럭스는 무선 통신과 위치 추적 모듈의 설계에 있어 보안을 항상 중요시해 왔다”며, “이를 위해 그 분야의 특허 기술을 보유한 쿠델스키(Kudelski) 社와 기술 제휴를 맺었으며 SARA-R410M-73B은 이 특허 기술이 적용된 장치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탑재한 최초의 유블럭스 상용 모듈이다”라고 밝혔다.
장비 및 데이터 보안 기능 기본 탑재 SARA-R410M-73B 모듈은 변경 불가능한 제품 고유의 RoT(root of trust)를 탑재하고 있어 핵심 IoT 솔루션에 이상적이며 이는 신뢰할 수 있는 첨단 보안 기능을 갖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해준다.
유블럭스 모바일 제품 관리 담당 패티 펠츠(Patty Felts)는 “확장이 가능하며, 사전 공유되는 핵심 관리 시스템은 동급 최고의 데이터 암호화 및 암호 해독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기기 자체 단위는 물론, 디바이스와 클라우드까지의 단위에서도 실행이 가능하다. 최신의 (D)TLS(전송계층보안) 스택 및 암호화 스위트를 하드웨어 기반의 암호화 가속 기능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강력하고 효율적이며, 안전한 통신이 가능하게 해 준다”라며 강조했다.
언제 어디서나 안심할 수 있는 위치 추적 기능, 유블럭스 셀로케이트(CellLocate®) 유블럭스의 셀로케이트(CellLocate®) 셀룰러 위치 추적 기술은 기기 인근의 모바일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해 단독으로 위치를 추적하거나, GNSS 위치 추적 데이터와 같이 사용하여 보다 향상된 위치 정보 제공한다.
동적 로딩 객체 및 uFOTA를 갖춘 LWM2M를 이용한 미래 지향적 솔루션 고객은 IoT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소형 프로토콜인 LWM2M을 활용한 uFOTA (Firmware Over The Air, 무선 펌웨어 업그레이드) 클라이언트/서버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향후의 기술발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솔루션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LWM2M의 동적 로딩 객체 기능을 사용하면 이미 시판되어 있는 기기를 대상으로도 맞춤형의 오브젝트와 자원을 생성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이 제품은 ISO/TS 16949 인증 생산 시설을 통해 생산하고 있으며, 작동 온도 범위 역시 –40° C ~ +85° C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제품이다.
유블럭스 한국지사 손광수 지사장은 "유블럭스는 고객사가 앞서나가는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신뢰도 높은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늘 노력하고 있다. 향상된 보안 기능이 추가된 SARA-R410M-73B 제품이 SK 텔레콤 LTE-M 네트워크 인증을 획득함으로서, 고객사는 보다 다양한 산업용 IoT 솔루션에 유블럭스의 제품을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우리는 고객사의 제품 개발을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유블럭스 SARA-R410M-73B LTE-M 셀룰러 모듈, SK 텔레콤 네트워크 인증 획득
기사입력:2019-12-26 08:58:3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731,000 | ▲111,000 |
비트코인캐시 | 828,000 | ▼1,000 |
이더리움 | 6,477,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50 | ▼10 |
리플 | 4,321 | ▼3 |
퀀텀 | 3,63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792,000 | ▲264,000 |
이더리움 | 6,481,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60 | 0 |
메탈 | 1,065 | ▼4 |
리스크 | 543 | ▲1 |
리플 | 4,324 | ▼1 |
에이다 | 1,286 | ▼2 |
스팀 | 19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750,000 | ▲220,000 |
비트코인캐시 | 828,000 | ▼1,000 |
이더리움 | 6,480,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50 | ▲30 |
리플 | 4,321 | ▼4 |
퀀텀 | 3,663 | ▲13 |
이오타 | 27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