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최근 중소형(전용 60~85㎡이하), 소형(전용 60㎡이하) 아파트 강세에 다소 주춤했던 중대형 아파트(전용 85㎡초과)의 부활이 예고되고 있다. 1~2인 가구 등 소규모 가구의 증가에 따른 생활환경 변화로 주택시장에서 다운사이징 현상이 이어지면서 중대형 아파트의 공급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중대형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는 여전해 청약경쟁률이 중소형을 웃도는 등 강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중대형 아파트의 공급량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년간(2017.01~2019.04) 중대형 아파트 공급량은 전체 41만5644가구 중 단 11.18%인 4만6486가구에 불과했다. 공급이 가장 많았던 평형대는 중소형으로 무려 30만3341가구(72.98%)였으며, 소형은 6만5814가구(15.83%) 공급됐다.
반면,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면적별 가격상승률은 중대형 아파트가 16.15%를 기록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평균 상승률인 15.46%를 웃도는 수치다. 반면, 소형과 중소형은 각각 14.87%, 15.25%를 기록하면서 평균을 밑돌았다.
이렇다 보니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다. 손바뀜이 가장 잦은 수도권 주택시장을 살펴본 결과, 매년 중대형 아파트의 거래 비율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85㎡초과 아파트는 5만9103가구가 거래돼 전체 거래건수(229만5310가구) 중 20.01%를 기록했다. 이는 2006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초로 20%를 돌파한 것이다. 2015년 17.9%, 2016년 18.7%, 2017년 18.74%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이에 분양시장에서도 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올해 3월까지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 면적별 청약경쟁률을 분석해 본 결과 상위 10곳 중 8곳이 전용 85㎡초과 중대형 아파트였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거둔 단지는 ‘위례포레자이’ 전용면적 108.81㎡로 무려 242.67대 1을 기록했다.
부동산 전문가는 “매년 공급이 쏟아지는 중소형 아파트 대비 물량이 적은 중대형 아파트의 희소가치가 높아지고 있다”라며 “특히 대부분 청약조정지역인 수도권의 경우 전용 85㎡초과 타입이 상대적으로 당첨확률이 높은 추첨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가점이 낮은 수요자들은 중대형 타입에 주목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2분기에도 중대형 아파트에 수요자들의 눈길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먼저 우미건설은 하남시 위례신도시 A3-4b블록에서 ‘위례신도시 우미린 1차’ 875가구를 4월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102~114㎡ 총 875가구 규모로 전 가구 100% 중대형 평형으로 조성된다. 인근에 서울 지하철 5호선 마천역이 있으며, 서울외곽순환도로 송파IC와 송파대로, 동부간선도로 등의 광역도로 진입이 쉽다. 위례신도시~거여동간 직선도로(위례서로)도 임시 개통돼 강남 접근성도 좋아졌다. 단지 주변으로 수변공원과 초등학교 예정 용지, 스타필드 시티 위례가 있다.
힐스테이트는 경기도 이천시 증일동 79-4번지 일원에서 ‘중리신도시2 힐스테이트’를 공급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 ~ 지상 29층, 8개동, 전용면적 74~136㎡, 총 814가구로 구성된다. 단지가 들어서는 중리신도시는 중리택지지구와 이천역세권지구를 합한 총 7000여 세대에 달하는 대규모 주거타운으로 이천의 구도심 중심과 마주하고 있어 프리미엄 입지를 자랑한다.
포스코건설은 5월 군산 디오션시티 A4블록에 ‘디오션시티 더샵’을 선보인다. 단지는 전용면적 59~145㎡ 총 973가구로 다양한 평형대로 조성된다. 디오션시티는 e편한세상, 푸르지오 등 1군 브랜드타운이 형성돼 전분 신 주거중심지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전북최대규모 복합쇼핑몰 롯데몰이 도보 거리에 있으며 부지 내 학교용지도 계획돼 주거환경이 우수하다.
김영삼 기자 yskim@lawissue.co.kr
중대형 아파트 부활하나? 희소성, 가격 상승률 증가 눈길
기사입력:2019-04-16 18:41:4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45.24 | ▼16.06 |
코스닥 | 863.11 | ▲6.00 |
코스피200 | 473.44 | ▼1.9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099,000 | ▼97,000 |
비트코인캐시 | 846,000 | ▼6,500 |
이더리움 | 6,269,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420 | ▲20 |
리플 | 4,196 | ▼3 |
퀀텀 | 3,370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070,000 | ▼229,000 |
이더리움 | 6,269,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420 | 0 |
메탈 | 989 | ▲4 |
리스크 | 498 | ▲1 |
리플 | 4,194 | ▼6 |
에이다 | 1,254 | ▼2 |
스팀 | 18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08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846,000 | ▼4,500 |
이더리움 | 6,270,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8,430 | ▲30 |
리플 | 4,197 | ▼2 |
퀀텀 | 3,351 | ▼5 |
이오타 | 26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