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옛 것을 찬찬히 살펴보면 언제나 새로운 것을 발견하기 마련이다. 전통적 영물을 되살리는 디자인 프로젝트부터 한복을 재해석한 패션 프로젝트까지, 오래된 것으로부터 새로움을 창조하는 프로젝트들을 모아봤다.
우리 전통 영물인 ‘해태’와 ‘기린’. 해태와 기린은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문화 속에 살아 숨쉬던 상상 속의 영물이지만, 안타깝게도 현대에 들어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잊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긴 창작자가 해태와 기린을 넣은 드림캐쳐와 뱃지를 제작했다. 해태와 기린으로 제작된 드림캐쳐와 뱃지에 448명의 후원자가 약 1,500만원의 금액을 후원해 힘을 보태고 있다.
‘한국 전통 제품’을 떠올렸을 때 대체로 촌스럽다, 박물관에서 볼 법한 비싼 수공예품 이라는 인식을 하게 된다. 아무래도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보다는 촌스럽고 비실용적인 제품이 많아 젊은 세대에게 등한시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학문 소가죽 지갑>이 전통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전통을 등한시하는 2030세대에게 한국의 미를 알리기 위해 텀블벅을 찾았다.
<운학문 소가죽 지갑>은 국보68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을 본따 제작됐다. 고려시대 당시 불교와 무역이 발달, 차 문화가 발전해 도자 공예의 전성기를 맞이했고 이는 고려청자에 영향을 미쳤다. 즉,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은 찬란했던 고려의 역사가 담긴 유물이자 우리 일상에서 익숙하게 접해오던 전통 대표 소재이기 때문에 이를 차용해 제작된 것. 덕분에 젊은 세대의 취향 저격으로 목표 금액의 149%를 달성했다.
‘실링 왁스’란 서양에서 12세기 혹은 그 이전부터 사용되어 인장으로 중요한 문서를 봉합하기 위해 쓰였던 것으로, 봉인한 편지나 기밀서류는 비밀(SECRET)의 의미로 사용됐다. 한국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혜윰담 실링왁스키트는 서양에서 비롯된 실링 왁스에 우리의 한국의 미를 담아 한국형 실링 왁스로 제작됐다.
이 외에도 더욱 다양한 봄맞이 관련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는 텀블벅 ‘옛 것의 새로움’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주간 크라우드펀딩] 옛 것의 새로움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
기사입력:2019-03-19 17:21: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33.74 | ▲18.79 |
코스닥 | 790.36 | ▲6.12 |
코스피200 | 422.02 | ▲0.8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096,000 | ▲271,000 |
비트코인캐시 | 688,000 | ▲1,000 |
이더리움 | 3,697,000 | ▲6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560 | ▲70 |
리플 | 3,253 | ▲10 |
퀀텀 | 2,808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929,000 | ▲142,000 |
이더리움 | 3,694,000 | ▲6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570 | ▲100 |
메탈 | 954 | ▲5 |
리스크 | 549 | ▲6 |
리플 | 3,250 | ▲10 |
에이다 | 831 | ▲4 |
스팀 | 18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160,000 | ▲330,000 |
비트코인캐시 | 687,500 | ▲2,000 |
이더리움 | 3,699,000 | ▲6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560 | ▲60 |
리플 | 3,254 | ▲11 |
퀀텀 | 2,785 | 0 |
이오타 | 22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