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종합 콘텐츠 기업 CJ ENM(대표이사 허민회)의 OTT 티빙은 올해 10월 UV(Unique Visitor: 방문이 중복되지 않은 순방문자 수)가 734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 333만 명에서 1년 새 약 2.2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10월 시청시간도 전년대비 149% 급증했으며, 3분기 기준으로는 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3분기 신규 앱 다운로드 수는 55만건을 돌파, 유료 회원 수도 전년 比 56% 증가하며 국내 대표 OTT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했다.
티빙 내 디지털 마케팅 선호 타깃인 2049(20~49세 이용자) 비중도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월 기준 2049 타깃은 전체 이용자의 90.8%로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 중에도 여성 이용자 비중이 70% 이상을 차지해 디지털 마케팅에 최적화된 2049 여성 시청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CJ ENM 관계자는 “티빙에서 상위 프로그램 시청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스터 션샤인>, <아는 와이프>, <백일의 낭군님>은 각각 여성 시청자 비중이 70.3%, 71%, 81.8%로 집계됐으며, 젊은 시청자들에게 인기를 끌었던 <쇼미더머니 트리플세븐>은 1034 시청 비중이 83.8%, <프로듀스48>은 74.7%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티빙은 이용자들의 콘텐츠 소비 경험을 확대하기 위해 굿즈 판매 등 콘텐츠 커머스 기능도 강화했다. 투니버스 <신비아파트 외전, 기억하리>의 굿즈는 오픈 10분 만에 매진을 기록, <신서유기 5> 휴대폰 케이스도 1차 오픈 당일 매진, 2차 오픈 2시간 만에 매진을 기록했다. 이 밖에도 <프로듀스 101 시리즈>, <신서유기 시리즈>, <윤식당 시리즈> 등 10대 인기 콘텐츠의 IP를 활용한 상품을 티빙몰에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티빙 이용자 시청행태 분석 결과 ‘코드커팅(cord-cutting)[1]’ 이용자보다 환경 또는 생활 패턴에 따라 플랫폼을 선택해 시청하는 ‘코드스태킹(cord-stacking)[2]’ 이용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 5,000여 명의 티빙 이용자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티빙 이용자 중 90%가 TV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티빙 이용은 ‘나만의 기기로 혼자 보고 싶을 때(27.8%)’, ‘집에 TV가 있지만 가족들과 다른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싶을 때(24.8%)’, ‘이동 중 시청(21.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동 중 시청’하는 이용자가 전년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티빙 시청 디바이스의 경우, 모바일을 통한 시청 비중이 70%로 집계돼 개인화된 플랫폼 사용을 즐기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과도 일치함을 보였다.
CJ ENM 조대현 콘텐츠사업본부장은 “티빙은 프리미엄 콘텐츠를 기반으로 모바일 사용 편의성 강화, 커머스와의 결합 등을 강화하며 양적·질적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티빙의 주 이용자가 2049 여성인만큼4분기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남자친구> 등 첫 방송을 앞두고 있는 기대작도 티빙 성장에 큰 동력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티빙은 지난해 ▲1월 실시간 TV 무료화, ▲2월 보도채널 추가, ▲5월 프로야구 무료생중계, ▲6월 무제한 영화 VOD 서비스 제공 등에 이어 올해 ▲1월 종합편성채널 추가, ▲3월 티빙 키즈 추가, ▲6월 글로벌 티빙 론칭 등 거침없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CJ ENM, OTT 티빙 10월 순방문자수(UV)·시청시간 전년 比 2배 이상 증가
기사입력:2018-11-28 08:55:3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87.82 | ▲14.02 |
코스닥 | 729.36 | ▲6.55 |
코스피200 | 343.03 | ▲1.7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609,000 | ▲51,000 |
비트코인캐시 | 586,000 | ▲20,500 |
이더리움 | 2,674,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40 | ▲270 |
리플 | 3,081 | ▲11 |
이오스 | 1,164 | ▼2 |
퀀텀 | 3,071 | ▲1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768,000 | ▲113,000 |
이더리움 | 2,675,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90 | ▲300 |
메탈 | 1,151 | ▲5 |
리스크 | 698 | ▲2 |
리플 | 3,081 | ▲11 |
에이다 | 991 | ▲3 |
스팀 | 20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70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587,000 | ▲21,000 |
이더리움 | 2,676,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20 | ▲240 |
리플 | 3,081 | ▲10 |
퀀텀 | 3,056 | ▲4 |
이오타 | 300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