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삼성전자가 기존 고성능 NVMe SSD보다 응답 속도가 5배 이상 빠른 세계 최고 성능의 '800GB Z-SSD'를 업계 최초로 출시하며, 3차원 V낸드 플래시 기술로 새로운 프리미엄 시장을 열었다.
2017년에 세계 최초로 Z-SSD를 개발한 삼성전자는 '800GB Z-SSD' 제품을 출시하며, 인공지능·빅데이터·IoT와 같은 차세대 시장에서 캐시 데이터, 로그 데이터의 초고속 처리·분석에 최고 효율의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
삼성전자의 '800GB Z-SSD'는 ▲3비트 V낸드보다 읽기 속도가 10배 이상 빠른 Z-NAND ▲고속 응답(Ultra Low Latency) 컨트롤러 ▲1.5GB용량의 초고속 초절전 LPDDR4 모바일 D램을 탑재해 기존 3비트 기반 고성능 NVMe SSD(PM963)의 쓰기응답 속도보다 5배 이상 빠른 16㎲와 1.7배 빠른 임의 읽기 성능 750K IOPS를 구현한다.
또한 '800GB Z-SSD'는 800GB를 매일 30번씩 쓰는 경우에는 최대 5년의 사용 기간을 보증하며, 일일 사용량이 이를 더 초과할 경우에는 최대 총 쓰기 사용 용량을 42,000TB(테라바이트)까지 보증한다.
특히 최고 용량과 성능을 동시에 구현하면서도 신뢰성(평균 무고장 시간: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을 2백만시간으로 2배 높여 Z-SSD를 탑재한 시스템이 최고의 '성능', '내구성', '신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했다.
삼성전자는 기존 PC SSD, 엔터프라이즈 서버 및 스토리지 SSD, 소비자 SSD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번 '800GB Z-SSD' 출시로 차세대 슈퍼컴퓨터(HPC)용 SSD 등 프리미엄 SSD 시장에서도 확고한 제품 경쟁력을 확보했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장 한진만 전무는 "이번에 용량을 더욱 높인 Z-SSD 출시로 글로벌 슈퍼컴퓨터 고객들에게 IT 투자 효율을 더욱 높인 차세대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며, "향후에도 더욱 높은 용량과 제품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Z-SSD를 적기에 개발하여 프리미엄 SSD 시장을 지속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번 3세대(48단) V낸드 기반으로한 '1세대 Single Port Z-SSD 라인업(800GB/240GB)'출시에 이어, 올해안에 두개의 연결 포트로 가용성을 확장해 시스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2세대 Dual Port Z-SSD 라인업'을 출시, Z-SSD 라인업을 확대하며, 프리미엄 스토리지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2월 1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국제반도체회로학회 2018(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에서 프리미엄 시장을 이끌 첨단 Z-SSD 핵심 기술과 라인업을 발표할 예정이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삼성전자, 차세대 슈퍼컴퓨터용 '800GB Z-SSD' 출시
'5배 빠른 응답속도… 인공지능ㆍ빅테이터ㆍIoT 분야 최적화' 기사입력:2018-01-30 18:45:2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7.89 | ▼11.63 |
코스닥 | 801.37 | ▼3.03 |
코스피200 | 431.07 | ▼2.3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390,000 | ▼162,000 |
비트코인캐시 | 796,500 | ▲10,500 |
이더리움 | 5,196,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30 | ▲40 |
리플 | 4,302 | ▲7 |
퀀텀 | 3,033 | ▼2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441,000 | ▼161,000 |
이더리움 | 5,200,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40 | ▼20 |
메탈 | 1,061 | ▼7 |
리스크 | 625 | ▼4 |
리플 | 4,301 | ▲2 |
에이다 | 1,093 | ▲5 |
스팀 | 19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390,000 | ▼240,000 |
비트코인캐시 | 796,500 | ▲10,000 |
이더리움 | 5,20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30 | ▲50 |
리플 | 4,304 | ▲7 |
퀀텀 | 3,016 | ▼44 |
이오타 | 274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