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우리나라의 첫 ‘차세대 중형위성’이 지난 22일 발사·교신에 성공했다.
이번 성공의 의미를 한마디로 하면 ‘우주 개발 상업화 가능성 첫 확인’이다. 발사체와 탑재체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줄이면서다. 아리랑 3A호의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크기를 절반(2.0m×3.8m→1.4m×1.55m)으로 줄였다. 무게도 600㎏(1100㎏→500㎏)이나 가벼워졌다. 최근 세계 우주 개발은 위성을 얼마나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느냐의 경쟁이다. 그래야 돈이 되기 때문이다.
한화시스템(대표이사 김연철)은 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개발한 광학 탑재체의 카메라 제어부, 초점면 전자부 등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500㎏급의 위성을 만들기 위해 탑재체를 150㎏으로 소형화·경량화했다.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위성의 성능과 가성비를 높이는 데 민간 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정부가 이끌어가는 우주 개발이 아닌 민간 주도 우주 개발이 첫 발을 뗀 것으로 본다. 이것은 세계적 추세”라고 말했다.
민간 우주 개발 ‘뉴 스페이스’ 성공 열쇠 가운데 하나가 ‘소형화·경량화’다. 미국의 스페이스X 의 CEO 일론 머스크는 “200㎏대 소형 위성 1만3000개를 쏘아 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작고 많은 위성을 이어 전 세계에 초고속 위성 인터넷망을 구축하겠다는 ‘스타링크’ 계획이다.
이번에 우리가 발사에 성공한 차세대 중형위성은 소형 위성으로 가는 중간 단계다. 방 교수는 “우주 개발 사업이 정부에서 민간으로, 대형 위성에서 소형 위성으로 가는 발전 단계에 있다”고 평가했다.
한화시스템은 지금도 위성의 소형화·경량화를 진행 중이다. 본체와 탑재체를 더해 100㎏도 안 되는 초소형 SAR(고성능 영상레이더) 위성의 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한화시스템, 핵심 부품 소형화·경량화…가성비 높은 민간 우주 개발 현실화
기사입력:2021-03-23 19:54:4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9.41 | ▼126.03 |
코스닥 | 772.79 | ▼32.45 |
코스피200 | 420.72 | ▼17.8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817,000 | ▼83,000 |
비트코인캐시 | 752,000 | ▲6,500 |
이더리움 | 4,90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630 | ▲40 |
리플 | 4,099 | ▼6 |
퀀텀 | 2,837 | ▼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910,000 | ▼89,000 |
이더리움 | 4,909,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620 | 0 |
메탈 | 985 | ▼2 |
리스크 | 563 | ▼4 |
리플 | 4,103 | ▼5 |
에이다 | 994 | ▼4 |
스팀 | 18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900,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752,000 | ▲7,000 |
이더리움 | 4,907,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00 | ▲50 |
리플 | 4,101 | ▼7 |
퀀텀 | 2,819 | 0 |
이오타 | 25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