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코로나19로 기업들의 채용이 위축되면서 신입 뿐 아니라 경력직 구인 시장에도 찬 바람이 불고 있다. 실제로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이직을 미룬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이직 의사가 있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이직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69.7%가 ‘미뤘다’고 답했다.
재직 중인 기업 형태에 따라서는 중소기업(70.8%), 중견기업(70.5%), 대기업(61.7%) 순으로 이직을 미룬 비율이 높았다. 직급별로는 ‘대리급’(75.1%), ‘사원급’(69.3%), ‘과장급’(68.4%), ‘부장급’(60.9%), ‘임원급’(56.3%) 순이었다.
이직을 미룬 비율은 직무와 업종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먼저 직무별로 살펴보면, ‘마케팅’(82.4%), ‘재무/회계’(77%), ‘디자인’(76.9%), ‘영업/영업관리’(74.1%), ‘서비스’(71.3%) 등의 종사자들이 이직을 미룬 경우가 많았다. 업종에 따라서는 ‘석유/화학’(80%), ‘건설’(76.9%), ‘유통/무역’(75%), ‘식음료/외식’(74.3%), ‘서비스업’(74.3%), ‘정보통신/IT’(73.9%) 등의 순이었다.
이직을 미룬 이유로는 단연 △원하는 기업의 채용 공고가 나오지 않아서(53.4%,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경영 악재로 채용 취소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심해서(48.1%)가 바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이직한 회사 사정이 급격히 안 좋아질 수 있어서(20.4%) △지원하려던 채용이 중단되어서(20.4%) △재직중인 직장의 업무가 늘어 여유가 없어서(14.5%) 등의 순이었다.
언제 이직을 시도할 지에 대해서는 절반 가량(46.3%)이 ‘코로나19 종식 후’라고 답했다. 이어 38.6%는 ‘하반기’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15.1%는 ‘상반기 내에 시도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이직을 미루지 않은 직장인들(303명)은 그 이유로 현재 ‘직장에서 도저히 더 버틸 수 없어서’(37.6%, 복수응답)를 꼽았다. 다음으로는 ‘원하는 기업의 채용 공고가 나와서’(32.7%), ‘폐업 위기 등 재직중인 직장 상황이 안 좋아져서’(17.5%), ‘좋은 포지션을 제안 받아서’(13.5%) 등을 들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코로나19 사태가 이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
10명 중 8명(78.8%)이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지원할만한 채용 공고 축소(76.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갑작스런 채용 중단, 취소 등 발생(58.1%) △기업 실적 악화로 처우가 불만족스러울 가능성(41.8%) △자격증 시험 일정 연기 등으로 취득 차질(18.3%) △코로나 이전보다 더 까다롭게 채용 평가(16.4%) 등의 순이었다.
실제로 이들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올해 이직 성공률은 평균 51.8%로 낮았다.
한편,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9명(90.1%)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본인의 고용 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직장인 10명 중 7명, 코로나19로 이직도 미뤄
기사입력:2020-05-19 08:40:0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8.00 | ▲50.25 |
코스닥 | 798.60 | ▲14.54 |
코스피200 | 431.25 | ▲6.4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94,000 | ▲187,000 |
비트코인캐시 | 772,000 | ▼11,000 |
이더리움 | 5,023,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080 | ▼120 |
리플 | 4,164 | ▼10 |
퀀텀 | 2,866 | ▼1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55,000 | ▲398,000 |
이더리움 | 5,031,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080 | ▼70 |
메탈 | 994 | ▼2 |
리스크 | 563 | ▲1 |
리플 | 4,170 | ▼6 |
에이다 | 1,016 | ▼1 |
스팀 | 18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40,000 | ▲310,000 |
비트코인캐시 | 771,500 | ▼11,500 |
이더리움 | 5,03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070 | ▼190 |
리플 | 4,169 | ▼4 |
퀀텀 | 2,872 | 0 |
이오타 | 25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