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report] 비타민D 결핍 환자 꾸준한 증가 경향..."적당한 야외활동으로 면역력 강화해야"

기사입력:2019-02-22 16:43:53
[로이슈 임한희 기자] 비타민D는 지용성비타민의 한 종류로서 칼슘대사를 조절하여 체내 칼슘과 인의 흡수를 돕고 뼈를 강화하며 세포의 성장과 근력발달, 면역기능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족시 구루병, 골연화증,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일부암 등의 발병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3년~2017년간‘비타민D결핍(E55)’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매년 증가 추세이고 겨울철 환자가 봄철환자보다 30%이상(4년 평균)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4년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비타민D결핍’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18,727명에서 2017년 90,014명으로 연평균 48.1% 증가하였다.

성별 진료실인원은 남성은 2013년 5,001명에서 2017년 19,148명으로 연평균 39.9%(14,147명)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3년 13,726명에서 2017년 70,866명으로 연평균 50.7%(57,140명)이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박세희 교수는 최근 4년간 ‘비타민D결핍’의 진료인원이 최근(연평균 48.1%) 꾸준히 증가한 원인에 대해 “비타민 D의 뼈, 근육, 면역 작용과의 연관성 및 중요성이 알려지고, 서구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혈중 비타민D 수치가 낮다는 사실 또한 알려지면서 사회적인 관심 증가되었다. 이에 비타민D 결핍에 대한 검사, 검진이 증가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만성질환자의 증가, 야외 활동량 감소 등에 따른 비타민 D 결핍 환자 증가도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라고 설명하였다.

2017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50대 환자(25,839명, 28.7%)가 가장 많았고, 40대(17,907명, 19.9%), 60대(16,450명, 18.3%)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50대>40대>60대순으로 많았으며 이 구간에 속하는 환자는 남성은 전체 환자의 60%, 여성은 70%정도를 차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박세희 교수는 비타민D 결핍의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3.7배 이상 많은 이유에 대하여 “여성의 경우 외출 시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르는 것이 일상화되어 햇빛에 의한 비타민D 생성이 충분히 되지 않아, 비타민D 결핍이 더 흔히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검진으로 동반 위험 요인으로서 비타민 D 결핍에 대한 진료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하였다.

아울러, 40~60대 중장년층에서 환자가 많은 원인에 대해서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노화로 인하여 햇빛에 노출되어도 피부에서 비타민 생성 능력이 떨어지고, 음식에 의한 비타민 D 섭취가 줄어들게 되어 비타민 D 결핍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나 중장년층에서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적극적인 검진 등으로 인해 진료인원이 증가한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이라고 설명하였다.

2013년~2017년까지 비타민D 결핍의 월별 평균 진료인원 추이를 보면, 해마다 월별 진료인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매년 가을철에서 겨울철로 갈수록 증가율이 더욱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박세희 교수는 겨울철에 비타민D 결핍 진료인원이 다른 계절보다 더 급증하는 이유에 대해 “비타민 D는 자외선에 의해 주로 피부에서 만들어지는데 우리나라의 겨울에는 비타민 D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자외선이 지표에 거의 도달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체내 비타민D가 더욱 부족해질 수 있고, 그럴 경우 비타민D의 보충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비타민D 결핍’질환을 치료 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점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 비타민D가 결핍될 경우 골밀도 감소되는 골다공증, 골절 증가, 근력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 흔하지는 않으나 심한 경우 성인에서는 골연화증, 소아에서는 구루병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좀 더 밝혀져야 하나, 암의 위험이 증가되거나 자가면역질환 등의 다른 질환 관련된다는 연구들이 최근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468,000 ▲452,000
비트코인캐시 815,000 ▼2,000
이더리움 5,215,000 0
이더리움클래식 31,470 ▲60
리플 4,371 ▼9
퀀텀 3,207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313,000 ▲365,000
이더리움 5,217,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1,480 ▲80
메탈 1,116 ▲2
리스크 659 ▼3
리플 4,366 ▼10
에이다 1,128 ▲2
스팀 20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430,000 ▲430,000
비트코인캐시 815,000 ▼3,000
이더리움 5,21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1,520 ▲60
리플 4,369 ▼13
퀀텀 3,182 0
이오타 29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