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6.27부동산 대책 이후에도 광명, 과천, 성남, 용인, 안양 등 수도권 남부지역의 아파트 값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고양, 파주 등 수도권 북부지역은 하락세를 보이는 등 수도권 남부와 북부 지역 아파트 값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6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0.50% 오른 데 이어 7월 0.43%가 상승했고, 8월 들어서도 △첫째 주 0.05%로 시작으로 △둘째 주 0.04% △셋째 주 0.03% △넷째 주 0.03% 등 꾸준한 오름세를 기록했다.
상승세는 수도권 남부지역이 주도했다. 과천시는 같은 기간 동안 5.21%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성남시 4.31%, 안양시 1.68%, 광명시 1.46%가 올랐다. 반면 수도권 북부의 파주시는 0.99%가 하락했고, 고양시는 0.60%, 의정부 0.08%가 떨어졌다.
올 분양시장에서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동탄파크포레 자연앤 푸르지오’, ‘동탄꿈의숲 자연앤 데시앙’, 의왕시 ‘제일풍경채 의왕고천’ 등은 두 자리 수 청약률율 기록하는 등 수도권 남부지역 분양 단지들이 준수한 성적을 거뒀다.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남부지역은 서울 강남권 접근성이 용이한 입지 환경으로 두터운 수요가 형성돼 있어 평균 주택가격이 북부지역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안정성과 상승여력 등을 고려해 수요자들이 더 관심 갖는 곳이 남부지역이다. 남부권에서도 개발호재 등을 잘 따져보고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을로 접어든 분양시장도 수도권 남부를 중심으로 곳곳에서 분양을 앞둔 곳들이 있어 수요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광명, 안양, 과천, 의왕 등에서는 재개발 정비사업을 통해 브랜드 아파트들이 분양에 나선다.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서는 GS건설이 광명뉴타운 12R구역을 재개발해 짓는 ‘철산역자이’를 9월 분양한다. 총 2,045가구의 대단지로 조합원분을 제외한 전용면적 39~84㎡ 650가구가 일반분양 분이다. 지하철 7호선 철산역이 걸어서 5분 안팎의 역세권 단지로, 서울 강남을 비롯한 서울 주요 업무지역을 1시간 안에 도달할 수 있다. 광덕초와 인접한 초품아 아파트이며 철산역 주변 학원가도 잘 정비가 돼 있어 교육여건이 좋다. 유아풀, 체온유지풀이 있는 수영장과 단지 24층에 조성되는 클럽 클라우드에는 교보문고 북 큐레이션, 북라운지 등의 휴게 공간도 마련된다.
GS건설은 또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서 ‘안양자이 헤리티온’을 9월 분양할 예정이다. 수도권전철 1호선 명학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어 서울 가산디지털을 비롯해 서울시청, 용산, 서울역 등으로 이동하기 쉽고, 한정거장 거리의 안양역과 금정역으로 각각 월곶판교선, GTX-C노선 등이 연결될 예정이다. 단지 남쪽으로 수리산이 접해 주거환경이 쾌적하고 일부 가구는 조망도 가능하며 명학초, 성문중, 성문고 등의 학교를 모두 걸어서 통학할 수 있다.
계룡건설, 한신공영 컨소시엄은 수원시 권선구 당수1지구에 짓는 ‘엘리프 수원 한신더휴’를 10월경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74~120㎡로 C3블록 52가구, D3블록 697가구 등 총 1,149가구 규모다. 초등학교 예정 부지가 단지 앞에 있으며 수원제일중(이전예정), 칠보중, 칠보고 등의 학군을 갖는다.
이밖에도 SK에코플랜트와 HDC현대산업개발이 의왕시 고천동 고천나구역을 재개발해 짓는 ‘의왕 SK뷰 아이파크’를, GS건설이 용인시 풍덕천동에서 ‘수지자이 에디시온’을 각각 10월 분양할 예정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아파트 값 오르는 ‘수도권 남부’, 가을 분양시장 기대감 ‘후끈’
기사입력:2025-09-03 15:18:0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0.83 | ▲16.41 |
코스닥 | 805.42 | ▲8.61 |
코스피200 | 432.32 | ▲1.9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198,000 | ▲617,000 |
비트코인캐시 | 823,000 | ▲500 |
이더리움 | 6,041,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20 | ▲20 |
리플 | 3,951 | ▲9 |
퀀텀 | 3,825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196,000 | ▲644,000 |
이더리움 | 6,048,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20 | ▲20 |
메탈 | 967 | ▲2 |
리스크 | 503 | ▼1 |
리플 | 3,953 | ▲13 |
에이다 | 1,136 | 0 |
스팀 | 179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230,000 | ▲580,000 |
비트코인캐시 | 821,000 | ▼3,000 |
이더리움 | 6,045,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8,290 | ▲70 |
리플 | 3,954 | ▲12 |
퀀텀 | 3,820 | ▼3 |
이오타 | 25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