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겨울철은 난방기기 사용 증가와 건조한 기후가 겹치면서 화재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다. 최근 5년간 부산 지역 화재 통계에 따르면, 겨울철(12~2월) 화재 발생률이 연중 평균보다 높고 인명피해 또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한순간의 부주의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계절적 특성에 대응하기 위해 매년 11월은 ‘불조심 강조의달’로 지정되어 전국적으로 화재 예방 활동이 강화되고 있다. 부산 사상소방서 또한 겨울철 화재안전 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전기·난방기기 안전관리, 화재취약시설 점검, 예방 홍보 활동 등 다양한 과제를 병행하고 있으며, 주택 안전 확보 역시 겨울철 증가하는 화재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추진하고 있다.
주택은 전체 화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장소로, 초기 인지와 진압이 어려워 작은 불도 큰 피해로 확대되기 쉽다. 특히 겨울철에는 전열기·난방기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위험이 더욱 커진다.
그러나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소화기 등 주택용 소방시설만 제대로 갖추어도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은 여러 언론 보도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주택용 소방시설의 효과가 큰 이유는 명확하다. 감지기는 화재 발생을 가장 먼저 알려 대피 시간을 확보해 주고, 소화기는 초기 단계에서 불길을 차단해 피해 확산을 막는다. 복잡하거나 특별한 장비가 아닌,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본 안전장치가 가족의 생명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수단이 된다.
이처럼 장비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평소 관리와 기본 수칙 준수가 필요하다. 첫째,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월 1회 이상 시험 버튼을 눌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둘째, 소화기는 누구나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비치하고 사용법을 미리 익혀야 한다. 셋째, 겨울철 전열기·난방기기 사용 시에는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을 피하고, 외출·취침 전 전원 차단을 생활화해야 한다.
이 같은 기본적인 관리만으로도 주택 화재 피해는 크게 줄일 수 있다.
화재 예방은 거창한 대책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 집에 감지기와 소화기가 있는가?”, “작동은 제대로 되는가?”라는 가장 기본적인 점검이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이다. 작은 실천이 가족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사상소방서는 겨울철 주택화재 예방을 위해 취약가구 지원, 주택용 소방시설 보급, 예방 홍보 활동 등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시민 여러분께서는 ‘불조심 강조의 달’을 계기로 가정의 안전 상태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생활 속 실천으로 안전한 겨울을 함께 만들어 주시길 당부드린다.
-부산사상소방서 김민호 서장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기고] “겨울철 화재 지킴이! 주택용 소방시설”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소화기 필수 기사입력:2025-11-11 17:54:4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106.39 | ▲33.15 |
| 코스닥 | 884.27 | ▼4.08 |
| 코스피200 | 581.41 | ▲6.1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067,000 | ▼206,000 |
| 비트코인캐시 | 761,500 | ▼3,000 |
| 이더리움 | 5,288,000 | ▼1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700 | ▼90 |
| 리플 | 3,654 | ▲1 |
| 퀀텀 | 2,884 | ▼6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118,000 | ▼231,000 |
| 이더리움 | 5,291,000 | ▼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730 | ▼70 |
| 메탈 | 739 | ▼34 |
| 리스크 | 474 | ▼57 |
| 리플 | 3,661 | ▲7 |
| 에이다 | 856 | ▼4 |
| 스팀 | 132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980,000 | ▼350,000 |
| 비트코인캐시 | 762,000 | ▼3,000 |
| 이더리움 | 5,285,000 | ▼1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680 | ▼70 |
| 리플 | 3,655 | ▲1 |
| 퀀텀 | 2,890 | 0 |
| 이오타 | 215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