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제일은행 이광희 행장, 취임 즉시 5000억 충당금·증권 손실에 '국부 유출' 딜레마

기사입력:2025-11-10 16:10:06
SC제일은행 이광희 은행장. 사진=연합뉴스

SC제일은행 이광희 은행장.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SC제일은행 이광희 은행장이 취임 직후부터 사면초가에 놓였다. 상반기 5,0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손실충당금 적립으로 대출 건전성 위기를 맞은 데 이어, 자회사인 SC증권이 25억 원대 순손실을 기록하며 비은행 부문마저 발목을 잡았다. 여기에 전임자 박종복 전 행장 시절부터 이어진 고질적인 '국부 유출' 논란까지 더해지면서, 이광희 행장은 경영 안정화보다 난제 수습에 임기 초반을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이다.

상반기 SC제일은행의 대출채권·수취채권과 미수금 등 주요 손실충당금의 총액은 5146억원을 기록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0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증가했다.

이러한 대규모 충당금 적립은 이광희 행장이 취임하자마자 리스크 관리와 건전성 회복에 비상등이 켜졌음을 의미하며, 향후 수익성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은행의 수익 다각화를 이끌어야 할 비은행 부문 역시 이광희 행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SC제일은행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인 한국스탠다드차타드증권(SC증권)은 올 상반기 25억4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손실 폭이 줄어든 것이 위안이지만, SC증권이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은행 연결 실적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 5000억 원 충당금 적립과 함께 자회사의 적자까지 더해지면서 이 행장은 본업(이자 이익)과 비은행 부문의 동반 부진이라는 치명적인 숙제를 떠안게 되었다.

가장 고질적인 문제이자 외국계 은행으로서 SC제일은행을 따라다니는 그림자는 '국부 유출' 논란이다.

10년간 은행을 이끌었던 박종복 전 행장은 적자 탈출에는 성공했으나, 배당금 대부분이 해외 본사로 송금되는 지배구조를 개선하는 데는 미흡했다는 비판을 남겼다. 이광희 행장 역시 임기 초부터 이 논란을 물려받았으며, 130억 원대 금융사고 등 내부 통제 이슈와 더불어 고액 배당을 통한 국부 유출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 행장은 대규모 충당금 적립으로 건전성 악화에 대비하는 동시에, SC증권 적자를 끊어내 경영 정상화를 이뤄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향후 해외 본사 의존적인 지배 구조를 어떻게 관리하고 국내 금융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어낼지가 이 행장의 최대 딜레마가 될 것이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131.11 ▲57.87
코스닥 890.66 ▲2.31
코스피200 585.56 ▲10.2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88,000 ▲498,000
비트코인캐시 777,500 ▲4,500
이더리움 5,362,000 ▲44,000
이더리움클래식 24,520 ▲90
리플 3,762 ▲7
퀀텀 2,914 ▲3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394,000 ▲427,000
이더리움 5,366,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4,560 ▲120
메탈 694 ▼1
리스크 349 ▲3
리플 3,765 ▲9
에이다 891 ▲7
스팀 12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90,000 ▲400,000
비트코인캐시 778,500 ▲6,500
이더리움 5,365,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4,470 ▲70
리플 3,762 ▲8
퀀텀 2,894 ▲4
이오타 227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