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북미에서 처음 개최된 ‘뉴욕 한류박람회’에 2만여 명 참관객이 몰리고, 현장에서만 총 1천 1백만 달러 수출계약·MOU도 이뤄졌다. 산업통상부(장관 김정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코트라, 사장 강경성)는 지난 11월 6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뉴저지 아메리칸드림몰에서 '2025 뉴욕 한류박람회(KBEE 2025 NEW YORK)'를 개최했다.
9일 코트라에 따르면 ‘한류박람회’는 한류와 수출마케팅을 접목해 해외 현지에서 소비재 수출시장 다변화를 추진하고 중소기업 제품의 해외 소비자·바이어 인지도를 높이는 한류마케팅 대표 플랫폼으로, 올해 25회째다. ‘케데헌’으로 대변되는 한류 전성기에 맞춰 K-컬처와 소비재 해외 진출 간 상호 시너지, 프리미엄 이미지를 높이고자 북미에서 처음 개최했다.
최근 북미에서도 K-컬처, 소비재 인기가 뜨겁다. K-콘텐츠 열풍 속 2024년 K뷰티가 미국 내 화장품 수입시장 점유율 1위에 오르며, 화장품 원료 및 완제품 제조사 진출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 입장에서도 미국은 K-푸드 최대 수출 시장으로 라면, 김 등을 필두로 최근 10년간 식품류 대미 수출이 연평균 10%씩 급증세다.
이번 한류박람회는 유행·유통의 심장부인 뉴욕에서 K-소비재 인지도를 높이고, K-컬처 붐과 연계해 현지 유통망 진출 확대를 위해 마련됐다. 박람회 구성은 현지 바이어-우리 수출기업간 1:1 B2B 수출 전시상담회(수출확대), B2C 판촉 쇼케이스 (B2C마케팅), 한류 체험관 운영(몰입형 마케팅), 한류스타 공연, CSR 활동(사회적책임, 문화-산업 융복합 활용 상생) 등으로 다채롭게 꾸며졌다.
▶ K-컬처와 K-소비재가 만난 수출 전시·상담회
대표 프로그램은 K-컬처와 K-소비재가 만나는 수출 전시상담회로 프리미엄 소비재(뷰티·푸드·패션 등) 전문 100개사가 총 235개 바이어(북미 185개, 중남미 50개)와 1,390건의 수출상담을 진행했다. 현대홈쇼핑, W컨셉, 에이랜드 같은 유통망도 중소기업과 동반진출을 추진, K-유통 플랫폼과 역직구 수출마케팅을 전개했고, 한류스타 공연, 이벤트마케팅을 통해 바이어 유치, 현장 판매 실적도 높였다.
▶ 온·오프라인 연계 B2C 판촉 쇼케이스로 현지 소비자 접점 확대
북미 한류 열기를 뉴욕 소비자들에게 확산시키기 위해 온·오프라인 동시에 대규모 B2C 판촉 쇼케이스도 진행했다. 한류스타 공연과 팬미팅을 접목한 O2O(Online to Offline) 옴니채널 마케팅, 미국 내 한인 대형 유통망(H마트, 에이랜드, 울타리몰)과 협업해 구매 편의성을 더했다. 온라인 상에도 이베이(eBay), W컨셉, 딜리버드코리아, K타운포유,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의 역직구 플랫폼과 연계해 K-스타 굿즈 등을 판매했다.
▶ 첨단기술 결합 ‘한류체험관’으로 몰입형 마케팅 전개
한류 콘텐츠 체험과 K-소비재 구매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몰입형 한류마케팅 무대도 꾸며졌다. 입구에서는 홀로그램으로 구현된 홍보대사(하지원, 태민, 화사)가 박람회를 소개했고, K-뷰티 메이크업쇼, K-푸드 쿠킹쇼, 한류스타 의상존 등 다양한 체험 이벤트로 인기를 끌었다. 넷플릭스와 협업해 운영한 K-콘텐츠 홍보관에는 참관객이 드라마 주인공이 되어 사진을 찍는 ‘홀로그램 포토부스’에 긴 줄이 생기기도 했다.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운영한 뮤지엄 굿즈관, 에스파 한복·의상 체험관에도 참관객 발길이 이어졌다.
▶ 한류스타 공연·CSR 접목해 ‘문화-산업 결합 상생’ 실현
개막 축하공연에는 뉴욕 한류박람회 공식 홍보대사를 맡은 하지원, 태민, 화사가 등장해 뉴욕 관객을 열광시켰다. 2일차에도 팬미팅과 사인회를 진행하며 K-뷰티·패션·푸드 붐 조성을 도왔다.
현지 진출 우리기업이 한류스타, 팬들과 함께한 CSR(기업의사회적책임이행) 활동, 기부행사도 의미를 더했다. 기부금은 현지 청소년 보호기관인 ‘커버넌트하우스(Covenant House New Jersey)’에 전달해 노숙자와 청소년 지원에 사용된다. 커버넌트하우스 관계자는 “후원 활동에 더해 한류스타와 기업, 한류 팬이 함께 만들어 준 한미 상생의 상징이어서 의의가 크다”고 전했다.
코트라는 올해 상반기에 캄보디아, 카자흐스탄에서 한류박람회를 개최했고, 11월에는 뉴욕, 12월에도 쿠알라룸푸르 한류박람회를 연달아 개최해 문화강국 이미지를 높이고, K-소비재 수출시장 다변화 효과를 거둔다는 방침이다. 중소기업의 단독 추진이 어려운 한류스타, 문화 접목 마케팅 기회를 넓히겠다는 것이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한류박람회는 산업과 문화를 접목해 15년째 K-소비재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온 대표적 한류마케팅 플랫폼”이라며, “코트라는 K-소비재 품목과 시장을 다변화하고 한류와 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견인해 수출 1조 달러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산업부‧코트라 개최 ‘뉴욕 한류박람회’에 국내외 335개사·참관객 2만명 몰려
기사입력:2025-11-09 11:05: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11.57 | ▼159.06 |
| 코스닥 | 897.90 | ▼20.47 |
| 코스피200 | 563.43 | ▼25.22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45,141,000 | ▲579,000 |
| 비트코인캐시 | 770,000 | ▲2,500 |
| 이더리움 | 4,802,000 | ▲2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350 | ▼90 |
| 리플 | 3,421 | ▲9 |
| 퀀텀 | 2,669 | ▲9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45,148,000 | ▲708,000 |
| 이더리움 | 4,800,000 | ▲2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340 | ▼100 |
| 메탈 | 670 | ▼6 |
| 리스크 | 411 | ▼9 |
| 리플 | 3,423 | ▲10 |
| 에이다 | 768 | ▲5 |
| 스팀 | 120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45,030,000 | ▲560,000 |
| 비트코인캐시 | 770,000 | ▲1,500 |
| 이더리움 | 4,801,000 | ▲33,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280 | ▼140 |
| 리플 | 3,419 | ▲9 |
| 퀀텀 | 2,618 | 0 |
| 이오타 | 202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