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이슈] 닥터지, 美 FDA OTC 인증 선케어 3종 이달 중 아마존 공식 론칭 外

기사입력:2025-10-23 10:40:47
[로이슈 편도욱 기자] 더모코스메틱 브랜드 닥터지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일반의약품(OTC) 인증 절차를 통과한 선케어 제품 3종을 이달 내 아마존에서 선보인다. 미국은 자외선 차단제를 피부암 예방 등 공중보건 차원에서 엄격히 관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제품은 화장품이 아닌 의약외품으로 분류된다.

닥터지는 이번 인증을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받으며 미국 시장 진입의 발판을 마련했다. 회사 관계자는 “한국에서 축적한 피부과학 기반 전문성을 미국 시장에서도 검증받게 됐다”고 말했다.

출시 예정 제품은 ‘그린 마일드 업 디펜스 미네랄 선’, ‘브라이트 토닝 업 틴티드 선’, ‘레드 블레미쉬 수딩 업 모이스처 선’ 3종이다. 브랜드에 따르면 각 제품은 미국 소비자의 피부 특성과 트렌드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됐다.

닥터지는 이번 론칭과 함께 ‘건강한 피부를 위한 3단계 루틴’을 현지 시장에 제안해 브랜드 철학을 전달할 계획이다. 고운세상코스메틱 인터내셔널 부문 관계자는 “이번 인증과 론칭이 닥터지가 K-뷰티 기반 선케어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현지 고객과의 신뢰를 중심으로 브랜드 입지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닥터지는 현재 일본, 미국, 태국 등 13개국에 진출 중이며, ‘블랙 스네일 크림’, ‘레드 블레미쉬 클리어 크림’ 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량을 확대하고 있다.

◆ 한국후지필름BI, 직장인 AI·AX 솔루션 인식 조사 결과 발표

한국후지필름비즈니스이노베이션㈜(한국후지필름BI)은 최근 실시한 AI·AX 솔루션 인식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세 명 중 두 명이 인공지능(AI) 도구를 업무에 활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6%가 “현재 업무에 AI 툴을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는 챗지피티였다.

AI 도입의 주요 장점으로는 ‘업무 속도 향상’과 ‘결과물 품질 개선’이 꼽혔다. 반면 절반가량의 응답자는 “정확도와 의존성에 한계가 있다”고 답했고, 개인 정보 유출과 편향성 문제를 우려하는 의견도 많았다.

조사 대상 중 AI를 사용하지 않는 직장인의 절반은 “회사 차원의 지원 부족”을 주요 이유로 지적했다. 이들은 향후 도입 요건으로 전용 계정 제공, 교육 프로그램 마련 등을 꼽았다.

조직 단위로는 응답 기업의 47%가 “아직 도입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데이터 보안과 관리 체계를 도입의 최대 걸림돌로 제시했다. 이에 대해 한국후지필름BI 관계자는 “AI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보안·신뢰성 확보가 그에 걸맞게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며 “협업과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아크로제주, 자연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오방’ 재론칭

제주 기반 화장품 기업 아크로제주가 미국 뉴욕 시장에서 호응을 얻었던 뷰티 브랜드 ‘오방(ovang)’을 국내에 다시 선보인다. 오방은 제주 선인장에서 추출한 수분을 정제수 대신 사용한 자연주의 스킨케어 브랜드로, 민감성 피부용 제품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

해외에서는 순한 성분과 보습 기능으로 레이저 클리닉과 피부과 중심으로 입소문을 얻었다. 자금난으로 브랜드 운영이 중단된 뒤, 아크로제주가 인수해 재정비에 나섰다.

아크로제주는 오방을 통해 ‘스킨 리츄얼(skin ritual)’ 콘셉트의 제품 라인업을 제시하고, 다양한 오프라인 채널에서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제주의 자연성과 균형 철학을 담은 브랜드로 일상 속 피부관리 문화를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오방은 올해 ‘아름다운제주국제마라톤대회’ 현장에서 대표 제품 ‘바쿠치올 선인장 스킨 리페어 크림’을 처음 공개한다. 해당 제품은 운동 후 피부 진정과 보습, 탄력 케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적합한 제품으로 개발됐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41.59 ▲96.03
코스닥 883.08 ▲11.05
코스피200 550.01 ▲13.6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639,000 ▼133,000
비트코인캐시 752,000 ▲2,500
이더리움 5,858,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3,880 0
리플 3,771 ▲29
퀀텀 2,972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623,000 ▼96,000
이더리움 5,858,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3,870 0
메탈 755 ▼3
리스크 321 ▼2
리플 3,770 ▲29
에이다 979 ▲1
스팀 13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660,000 ▼30,000
비트코인캐시 752,500 ▲3,000
이더리움 5,86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3,910 ▲30
리플 3,770 ▲27
퀀텀 2,988 ▼3
이오타 218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