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정책] 유정복 시장,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모두가 안전한 도시’ 구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에 출생가구 부모 혜택을 추가한 ‘아이플러스(i+) 차비드림’ 사업 병행 기사입력:2025-09-30 12:13:31
유정복 인천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유정복 인천시장은 복지 비전으로 저출산 극복과 고령화, 1인 가구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 인천시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부터 아이플러스(i+) 의료케어, 외로움국 신설, 교통복지 ‘차비드림’까지 전방위 정책을 통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모두가 안전한 도시’ 구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저출산·고령화·1인 가구 증가 등 사회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한 종합 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오는 2026년에는 전국 최초로 ‘외로움국’을 신설해 고립·은둔 문제에 대한 체계적 대응에 나서는 등 복지 행정에 집중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사회적 고립 문제를 제도적으로 다루기 위해 올해 ‘외로움TF’를 출범시켰으며, 2026년 1월에는 이를 ‘외로움국’으로 확대 개편한다. 주요 과제로는 ▲고립·은둔 해소 플랫폼 구축 ▲1인 가구 지원사업 확대 ▲생명존중 안심마을 조성 등이 추진된다. 지방정부 차원에서 독립된 조직을 두는 것은 전국 최초 사례다.

인천시는 「사회보장급여법」에 따른 제6기 지역사회보장계획(2027~2030) 수립을 준비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지역사회보장조사를 시작으로, 2026년에는 시민 의견 수렴과 시의회 보고를 거쳐 보건복지부에 최종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인천시 위기가구 발굴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의 활동을 제도적으로 지원한다. 지역 주민과 생활업종 종사자 등이 참여하는 명예공무원들은 위기가구 발굴, 상담 동행, 자원 연계 등을 수행하며 지난해에만 3만9천여 가구를 찾아냈다.

또한 저출산 극복을 위한 의료 인프라도 확대한다. 인천시는 ‘아이플러스(i+) 의료케어’ 사업을 통해 산모·신생아·소아 대상 통합의료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총 511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모자의료센터와 소아전문응급센터, 달빛어린이병원 운영 등을 지원한다.

인천시가 추진하는 의료 인프라에 길병원(권역), 인하대병원·인천성모병원(지역) 등 3곳의 모자의료센터에서는 고령 임산부, 다태아 출산 등 위험도가 높은 산모도 전문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옹진군 백령병원에는 산부인과 전문의를 배치해 의료 사각지대를 줄였으며, 산후조리원 종사자와 건강관리사에 대한 신생아 응급처치 교육도 확대됐다.

야간·휴일 소아 응급상황에 대응하는 소아전문응급센터는 현재 2곳(길병원·인하대병원), 경증 환자를 진료하는 달빛어린이병원은 7곳으로 운영 중이며 2026년까지 단계적 확대가 추진된다.

인천시는 계양구 드림로에 건립 중인 인천시립 치매 요양원은 내년 상반기 준공 예정이다. 연면적 2,980㎡, 정원 96명 규모로, 치매 전담실 8개 유니트와 물리치료실, 프로그램실 등을 갖추게 된다. 이는 초고령 사회 진입을 대비한 장기 복지 기반 확충의 일환이다.

저출산 대응책으로 교통비 지원도 강화된다. 인천시는 오는 10월 1일부터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인천 아이패스(i-패스)’에 출생가구 부모 혜택을 추가한 ‘아이플러스(i+) 차비드림’ 사업을 시행한다.

지원 대상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신고를 한 인천시 거주 출생가구 부모로, 자녀가 초등학교 입학 전년도까지 이용한 대중교통비의 50~70%를 환급받는다. 첫째 자녀는 50%, 둘째 이상부터는 70%가 지원된다.

한편, 유정복 시장은 “출생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이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며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에 출생가구 부모 혜택을 추가한 ‘아이플러스(i+) 차비드림’ 사업을 병행하여 시민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561.81 ▼22.74
코스닥 847.96 ▼12.53
코스피200 496.89 ▼4.9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504,000 ▼9,000
비트코인캐시 792,000 ▲8,000
이더리움 6,06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800 ▼20
리플 3,735 ▲13
퀀텀 3,0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500,000 ▼214,000
이더리움 6,061,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790 ▼170
메탈 792 ▼1
리스크 360 0
리플 3,733 ▲6
에이다 1,034 ▲3
스팀 14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60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793,000 ▲9,500
이더리움 6,06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770 ▼170
리플 3,734 ▲7
퀀텀 2,981 ▼87
이오타 222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