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편성범)은 본교 융합의학교실 조일주 교수 연구팀과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조승우 교수,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강훈철 교수,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신효근 교수 연구팀이 뇌 오가노이드의 전기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약물의 효과를 직접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소아 뇌전증 환자의 줄기세포로 제작한 뇌전증 오가노이드 모델에서 직접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이를 통해 약물이 실제로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간접적이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평가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플랫폼은 최대 10개의 뇌 오가노이드를 동시에 배양할 수 있다. 시스템에 내장된 미세유체 칩으로 각 오가노이드에 최대 두 가지 약물을 각각 5단계 농도로 정밀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을 통해 오가노이드 내부의 신경 활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약물 효과를 뇌세포의 신경 신호 반응으로 직접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는 여러 번 반복해야 했던 수십 가지 약물·농도 조건을 한 번에 병렬로 실험할 수 있어, 신약 개발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고속(high-throughput) 스크리닝 기술로 평가된다.
고려대 의대 융합의학교실 조일주 교수는 “기존에는 뇌 오가노이드에 약물을 투여한 뒤 결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거나, 신경 신호 측정이 매우 제한적이었다”며 “이번 기술은 실제 뇌세포가 만드는 전기신호를 통해 약물 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약물을 동시에 테스트하며 반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고속 스크리닝 기술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과 보스턴코리아 공동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관련 성과는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IF=14.1)에 ‘다중 뇌 오가노이드의 전기생리학적 활동을 활용한 원스텝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One-Step Drug Screening System Utilizing Electrophysiological Activity in Multiple Brain Organoids)’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고려대 의대 조일주 교수 공동연구팀, 뇌 오가노이드 활용한 차세대 약물 스크리닝 기술 개발
기사입력:2025-09-25 16:19:3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584.55 | ▼26.05 |
코스닥 | 860.49 | ▲1.00 |
코스피200 | 501.87 | ▼5.1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72,143,000 | ▼422,000 |
비트코인캐시 | 815,500 | ▼2,500 |
이더리움 | 6,356,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150 | ▼20 |
리플 | 3,890 | ▼15 |
퀀텀 | 3,19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72,223,000 | ▼501,000 |
이더리움 | 6,355,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150 | ▼20 |
메탈 | 829 | ▲1 |
리스크 | 382 | ▲1 |
리플 | 3,893 | ▼16 |
에이다 | 1,090 | ▼3 |
스팀 | 15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72,140,000 | ▼470,000 |
비트코인캐시 | 815,500 | ▼2,000 |
이더리움 | 6,360,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160 | ▲70 |
리플 | 3,890 | ▼14 |
퀀텀 | 3,178 | 0 |
이오타 | 24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