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부동산 시장에서 ‘크기=가치’를 증명하는 '빅사이즈 노믹스'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소형을 크게 웃돈 것이다. 이는 넉넉한 주거 공간에 대한 견고한 수요와 공급 부족이 맞물리며 '희소성'이 집값을 밀어 올린 결과로 분석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최근 5년(2020년 7월~2025년 7월) 동안 수도권 아파트의 월간 매매가격지수는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타입들이 모두 두 자리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가장 상승폭이 큰 면적은 15.37% 상승한 전용면적 135㎡ 초과였으며, 이어 전용면적 85㎡초과~102 ㎡이하가 11.09%로 뒤를 이었다.
거래 시장에서도 중대형 타입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에 따르면 올해 1~7월 수도권 아파트 가운데 전용면적 85㎡초과 중대형 타입 아파트는 3만6700건이 거래됐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만1112건) 대비 18.0% 증가한 수치다. 반면 85㎡이하는 13.0%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중대형 타입 공급량이 크게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최근 5년(2020년~2024년) 사이 수도권 입주 물량 가운데 전용면적 85㎡ 초과는 6만4396가구로 전체 물량(91만2778가구)의 불과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분양 시장에서도 중대형 타입의 선전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1~9월 1주까지 수도권에서 분양한 아파트 가운데 전용면적 85㎡초과 타입의 1순위 청약접수 평균 경쟁률은 11.8대 1을 기록했다. 또 비규제지역의 경우 전용 85㎡ 초과는 추첨제 100% 적용이라 가점이 부족한 수요가 몰리 것도 경쟁률을 끌어올린 것으로 해석된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중대형 타입은 구조, 공간 등에서도 중소형보다 여유 있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해 주거 만족도가 높고 자금력 있는 수요자가 뒷받침돼 가격 안정성도 갖췄다”며 “최근 정부에서 공공의 역할을 강화한 공급대책을 발표했는데, 공공주택은 주로 85㎡이하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85㎡초과는 앞으로도 더 희소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중대형 타입으로 공급되는 신규 분양 단지도 관심이 쏠린다. 경기 김포 풍무역세권에서는 호반건설이 ‘호반써밋 풍무(가칭)’를 10월 분양할 예정이다. 풍무역세권 B5블록에 들어서며, 전용면적 84·112·186P㎡ 총 956가구다. ‘호반써밋 풍무(가칭)’는 김포골드라인 풍무역을 도보 5분이면 이용할 수 있는 초역세권 단지인데다, 풍무역세권 내 85㎡ 초과 중대형 평형는 단 13%에 불과해 고급 중대형 아파트 단지의 희소성까지 갖춰 수요층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더구나 호반건설이 공급하는 3개 블록은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내에서도 가장 뛰어난 입지라는 평가다. 풍무역세권에서도 첫 공급임에 따라, 뒤이어 분양될 단지들 대비 가장 합리적인 가격이 될 것이 자명함에 따라 더욱 관심이 모이고 있다. 호반건설은 B4블록, C5블록에도 추가로 공급할 예정으로, 풍무역세권 내 총 3개 블록에 총 2580가구 규모의 ‘호반써밋’ 브랜드 타운을 완성할 예정인 점도 시선을 끈다.
GS건설은 오는 10월 경기 용인 수지구에서 ‘수지자이 에디시온’을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84∙120∙144㎡P∙152㎡P 총 480가구로 조성된다. 신분당선 동천역이 도보이용 가능한 거리에 위치해 판교역까지 3개 정거장, 강남역까지 7개 정거장이면 도달할 수 있다. 수지 지역 최초의 스카이라운지, 다채로운 커뮤니티 시설, 넉넉한 지하 주차공간도 갖춘다.
이밖에 포스코이앤씨가 오는 10월 경기도 오산 세교2지구에 선보일 예정인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인 '더샵 오산역아크시티'도 아파트 897가구는 전용면적 84㎡∙104㎡ 중대형으로 공급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클수록 좋은 ‘빅사이즈 노믹스’…갈수록 높아지는 ‘중대형의 가치’
기사입력:2025-09-17 15:22: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13.40 | ▼36.22 |
코스닥 | 845.53 | ▼6.31 |
코스피200 | 466.99 | ▼5.8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00,000 | ▼96,000 |
비트코인캐시 | 833,500 | ▼3,000 |
이더리움 | 6,265,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70 | ▲40 |
리플 | 4,193 | ▼3 |
퀀텀 | 3,362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17,000 | ▼102,000 |
이더리움 | 6,268,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410 | ▲20 |
메탈 | 999 | ▲5 |
리스크 | 499 | ▲4 |
리플 | 4,197 | 0 |
에이다 | 1,216 | ▲2 |
스팀 | 18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00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835,500 | ▼500 |
이더리움 | 6,26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80 | ▲70 |
리플 | 4,194 | ▼1 |
퀀텀 | 3,359 | ▲9 |
이오타 | 25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