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민병원(병원장 하용찬) 안지용 과장이 하버드 의과대학 및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MGH)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가 SCIE급 국제학술지인 당뇨병 및 관련 합병증(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환자 180명을 대상으로 프레가발린(pregabalin), 가바펜틴(gabapentin), 둘록세틴(duloxetine) 3가지 약제의 6주간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비교 분석했다. 특히 환자의 당화혈색소(HbA1c) 수치에 따른 최적의 약제 선택가이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크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PN)은 당뇨병의 흔하고 만성적인 합병증으로, 족부 궤양, 하지 절단 등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관리와 치료는 매우 복잡하며 치료의 핵심은 최적의 혈당조절을 유지하면서 통증을 조절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둘록세틴은 모두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DPN) 관리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 ▲둘록세틴과 프레가발린이 6주 치료 후 통증완화 효과가 우수했으며, ▲당화혈색소(HbA1c) 수치가 8.7 이상인 환자에게는 프레가발린 또는 가바펜틴이, 10.7 이상인 환자에게는 프레가발린이 적합하고,▲당 조절이 잘 된 환자에게는 둘록세틴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둘록세틴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으나 부작용 발생률도 상대적으로 높았고, ▲가바펜틴은 부작용이 가장 적어 환자의 당화혈색소 및 부작용 가능성을 고려한 맞춤 약제 선택 전략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이자 교신저자인 안지용 과장은 “당화혈색소(HbA1c)는 일상적 검사 지표를 활용해 맞춤형 치료를 제시한 점이 가장 큰 성과”라며 “이번 연구는 진료 현장에서 약제 선택에 실질적 기준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의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국내외 진료 지침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부민병원 안지용 과장, 하버드의대 공동연구 SCIE 국제학술지 게재
기사입력:2025-08-22 12:22:1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0.88 | ▼25.13 |
코스닥 | 791.31 | ▼5.60 |
코스피200 | 425.85 | ▼4.27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845,000 | ▼736,000 |
비트코인캐시 | 745,000 | ▼8,000 |
이더리움 | 6,105,000 | ▼3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550 | ▼220 |
리플 | 3,816 | ▼39 |
퀀텀 | 3,880 | ▼1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750,000 | ▼1,000,000 |
이더리움 | 6,099,000 | ▼4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550 | ▼230 |
메탈 | 981 | ▼8 |
리스크 | 510 | ▼4 |
리플 | 3,812 | ▼42 |
에이다 | 1,117 | ▼12 |
스팀 | 17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910,000 | ▼700,000 |
비트코인캐시 | 744,500 | ▼9,500 |
이더리움 | 6,100,000 | ▼4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530 | ▼290 |
리플 | 3,816 | ▼38 |
퀀텀 | 3,923 | ▼70 |
이오타 | 26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