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이원식 교수 연구팀, 슈퍼박테리아 감염 억제 유전자 지도 최초 구축

기사입력:2025-08-07 18:21:37
(왼쪽부터) 성균관대 이원식 교수, 장주애 박사, 이채영 대학원생. 사진=성균관대

(왼쪽부터) 성균관대 이원식 교수, 장주애 박사, 이채영 대학원생. 사진=성균관대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는 본교 약학과 이원식 교수 연구팀이 하버드대학교 Walker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슈퍼박테리아(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의 전신 감염 시 장기별 생활사를 규명하고 감염 억제 유전자 지도를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연구는 인간의 혈액, 다발성 장기 전이 모델, 폐 조직 유래 세포를 포함한 통합 감염 모델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감염 취약 장기인 폐와 간 그리고 혈액에서 세균 성장 억제를 가능케 할 새로운 통합적 항생제 표적 유전자 타깃 27종을 제시했다.

기존 연구는 특정 장기나 유전자에 국한되어 감염 경로 전체를 파악하기 어려웠지만, 이번 연구는 대규모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활용해 감염 전 과정에서 세균의 생존 전략과 병원성을 정밀하게 분석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감염 특이적 유전자 정보를 계통별로 체계화한 점에서 향후 새로운 항생제 개발 및 감염 제어 전략 수립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원식 교수는 “2050년까지 항생제 내성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전 세계적으로 약 39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번 연구는 내성균 대응을 위한 항생제 표적 개발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항생제 사용이 급증하며 내성균 감염이 증가한 만큼, 향후 다른 슈퍼박테리아에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기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2025년 7월 28일자로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25.66 ▲1.29
코스닥 815.26 ▲1.16
코스피200 436.5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750,000 ▼156,000
비트코인캐시 827,000 ▲1,500
이더리움 6,415,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31,000 ▼180
리플 4,312 ▼16
퀀텀 2,935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788,000 ▼107,000
이더리움 6,41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30,990 ▼190
메탈 1,023 ▼2
리스크 569 ▼3
리플 4,314 ▼11
에이다 1,313 ▲1
스팀 18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760,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825,500 ▼1,500
이더리움 6,41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30,950 ▼220
리플 4,312 ▼13
퀀텀 2,929 ▼28
이오타 279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