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법 판례] 토지에 관한 이 사건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준 사해행위취소에 대해

기사입력:2025-04-18 16:59:30
제주지방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제주지방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제주지방법원은 토지에 관한 이 사건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준 사해행위취소에 대해는 이 사건 매매계약 당시에 존재하는 채권으로 볼 수 없으므로 이사건 매매계약을 사해행위로서 취소하기 위한 피보전채권이 될 수 없고, 그보다 늦게 성립한 2019년 귀속 법인지방소득세 채권도 당연히 이 사건 매매계약 당시에 존재하는 채권이 아니므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고 선고했다.

제주지방법원 민사부는 지난해 12월 30일, 이같이 선고했다.

사안의 개요는 원고는 장차 법인지방소득세를 납부하여야 할 B가 그 대표자의 친형이 대표자로 있는 피고와 사이에 자신의 유일한 재산인 이 사건 토지에 관한 이 사건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피고에게 이 사건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준 것은 사해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법원의 판단은 사해행위로 주장되는 행위로 부담하게 된 양도소득 관련 조세채무에 대응하는 양도소득 관련 조세채권은 사해행위로 주장되는 행위 당시에 존재한다거나 이른바 기초적 법률관계가 성립되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 이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이러한 법리는 법인세법 제15조,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제2호에 따라 부동산 등 자산의 양도금액이 익금으로 산입되어 법인세, 법인지방소득세 등의 과 세대상인 소득이 되는 법인이 부동산을 양도한 경우에 과세기관이 취득하는 양도수익 관련 조세채권에 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 사건 매매계약으로 B에 대하여 발생한 원고의 양도수익 관련 2018년 귀속 법인지방소득세 채권은 사해행위로 주장되는 이 사건 매매계약 당시에 존재하는 채권으로 볼 수 없으므로 이

사건 매매계약을 사해행위로서 취소하기 위한 피보전채권이 될 수 없다.

이에 법원은 그보다 늦게 성립한 2019년 귀속 법인지방소득세 채권도 당연히 이 사건 매매계약 당시 에 존재하는 채권이 아니므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될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고 판결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748.37 ▲91.09
코스닥 865.41 ▲0.69
코스피200 524.45 ▲13.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8,660,000 ▲102,000
비트코인캐시 794,000 ▼1,000
이더리움 6,12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5,000 ▲50
리플 3,708 ▲9
퀀텀 3,072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8,755,000 ▲110,000
이더리움 6,125,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980 ▼20
메탈 799 ▲4
리스크 356 ▼2
리플 3,710 ▲7
에이다 1,027 ▲1
스팀 15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8,66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794,500 ▼500
이더리움 6,125,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930 ▲20
리플 3,711 ▲11
퀀텀 3,034 ▲2
이오타 22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