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엔씨소프트는 올해 창사 이래 최초로 경영 효율화를 위해 공동대표 체제를 도입한 가운데 퍼블리싱 강화 및 해외성과로 내년 반등을 준비중이라고 전했다.
올해 초 엔씨(NC)는 박병무 공동대표를 선임했다. 엔씨(NC)의 경영체제에 변화가 생긴 건 1997년 회사가 창립된 이래로 처음이다. 국내 게임업계를 대표하는 1세대 창업자 김택진 공동대표는 핵심 사업인 게임 개발에 집중하고, 박병무 공동대표는 기업 경영 전문가로서 지속 성장을 위한 내부 역량 강화를 맡는 ‘투 트랙’ 전략을 택했다.
박병무 공동대표는 취임 이후 엔씨(NC)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체질 개선에 집중했다. 우선 경쟁사에 비해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던 본사(HQ) 인력과 기능을 분배하는 효율화 작업에 착수했다. 물적분할을 통해 품질관리(QA),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IDS)를 분리했으며, 독립 스튜디오 3곳과 인공지능(AI) 기술 전문 기업 1곳을 비상장 법인으로 설립해 전문성을 강화했다.
M&A를 통한 퍼블리싱 역량 강화도 끌어 올렸다. 엔씨(NC)는 그동안 인하우스 중심의 개발 문화를 고수해왔다. 내부에서 게임을 개발하는 인하우스 방식은 높은 품질의 퀄리티를 보장하지만, 다양한 작품을 빠르게 제작하긴 한계가 있다. 이에 엔씨(NC)는 빠르게 변화하는 게임 산업 트렌드를 리드하기 위해 적극적인 M&A를 진행하며 외부 IP 및 배급 권한 확보에 나섰다.
올해 7월 엔씨(NC)는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FPS 장르 게임을 개발하는 스웨덴 소재 신생 게임사 ‘문 로버 게임즈’에 350만 달러 규모 초기 투자를 진행했다. 8월에는 국내 대표 서브컬처 게임 전문 개발사 ‘빅게임 스튜디오’에 370억원 규모 지분 및 판권 투자도 진행했다.
엔씨(NC)는 지난 10월 1일 아마존과 함께 TL 글로벌을 출시하며 해외 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TL 글로벌은 출시 한 달 만에 이용자수 452만 명을 넘어섰고, 스팀 최고 판매와 이용자 수 순위에서 모두 최상위권을 유지했다.
엔씨(NC)는 올해 글로벌 빅테크와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김택진 공동대표는 지난 3월 구글 본사를 방문해 AI, 클라우드 및 생산성에 대한 중장기 협업 모델을 수립하는 자리를 가졌다. 뒤이어 6월에는 베트남 종합 IT 기업 VNG와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합작법인 ‘NCV게임즈’를 설립하고 리니지2M 서비스 준비에 착수했다.
엔씨(NC)는 내년 신작 출시와 함께 본격적인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나설 전망이다. 우선 직접 제작 중인 ▲MMORPG ‘아이온2’ ▲슈팅 ‘LLL’ ▲전략 TACTAN(택탄) 등 3가지의 대작을 포함해 ▲외부 스튜디오와의 협력을 통해 하반기에 선보일 서브컬처 신작 ‘브레이커스’ ▲기존 IP를 활용한 신규 장르 게임 등 5종이 출시될 예정이다.
교보증권 김동우 연구원은 “다양한 장르의 자체 신작 출시, 퍼블리싱 역량 강화 등을 통해 외형 성장을 꾀하는 동시에, 희망퇴직을 통한 고정비 감소로 2025년 의미있는 이익 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공동대표 체제 도입한 엔씨소프트, 퍼블리싱·해외성과로 내년 반등 노린다
기사입력:2024-11-30 14:57: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988,000 | ▲260,000 |
비트코인캐시 | 529,500 | ▲3,500 |
이더리움 | 2,591,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10 | ▲80 |
리플 | 3,162 | ▼4 |
이오스 | 969 | ▼4 |
퀀텀 | 3,090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017,000 | ▲140,000 |
이더리움 | 2,590,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50 | ▲10 |
메탈 | 1,211 | ▲5 |
리스크 | 794 | ▲12 |
리플 | 3,161 | ▼6 |
에이다 | 986 | ▲3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040,000 | ▲240,000 |
비트코인캐시 | 530,500 | ▲5,000 |
이더리움 | 2,590,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3,860 | ▼100 |
리플 | 3,164 | ▼4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