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LS에코에너지(대표 이상호)가 전력과 통신사업을 양날개로 거침없는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전 세계적인 전력망 확충 움직임에 초고압 케이블 수주가 이어지고, 미국의 중국산 배제 정책으로 통신 케이블 수출까지 확대되면서 기업 성장에 탄력이 붙은 모습이다.
LS에코에너지는 지난 8월 베트남 생산법인 LS-VINA가 베트남전력공사(EVN)에 초고압 케이블을 공급한다고 7일 밝혔다.
공급된 케이블은 베트남 정부의 도시개발 계획에 따라 신도시 개발과 공항 건설 등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핵심 지역의 인프라 조성에 사용된다.
같은 달, 베트남전력공사(EVN)에는 약 2000km의 가공선을 공급했다. 가공선은 철탑과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으로, 이번 공급은 베트남 북부와 중부를 잇는 약 600km 길이의 주요 송전망에 사용된다.
베트남은 정부 주도하에 대대적인 전력망 확충 및 도시화 사업을 펼치고 있다. 2050년까지 현재 100GW 수준의 전력 설비를 500GW 규모로 확충할 계획이며, 현재 약 43% 수준인 도시화율을 2030년까지 5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LS-VINA는 베트남에서 유일하게 초고압 케이블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현재 약 8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회사 측은 “LS에코에너지가 베트남에서 유일하게 초고압 케이블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어, 정부의 인프라 확충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베트남 케이블 시장에서 1위로서 지속적인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유럽과 북미 등으로도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올 상반기 덴마크에 4000만 달러 규모의 케이블을 공급했으며, 알루미늄 지중(URD) 케이블의 UL 인증을 완료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산 알루미늄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중국 외 국가의 URD 케이블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통신사업도 성장세다. 랜(UTP) 케이블은 미국의 중국산 배제 정책 덕분에 대미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회사 측은 연간 매출이 작년의 2배인 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UTP 케이블을 Cat.6 이상의 고부가 제품군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변경해 영업이익률을 크게 끌어올리고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관공서, 빌딩 등 프로젝트 기반의 고객 비중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미국향 고난연 제품인 CMP 케이블의 매출 비중도 2020년 13%에서 2024년 32%로 크게 확대됐다. 고난연·불연성 특성을 극대화한 UTP 제품으로 화재 시 유독가스 배출을 억제해 인명 피해와 정보 손실을 막아주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은행, 대학교, 기업, 정부기관 등의 전산센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같은 사업 확대는 사상 최대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LS에코에너지는 올해 상반기 매출 4125억원, 영업이익 244억원, 순이익 210억원을 달성,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118%, 순이익은 무려 1627% 증가했다.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도 각각 5.9%와 5.1%로, 역대 최고치다.
회사 측은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인 초고압 케이블과 랜(UTP) 케이블 수출 급증이 이번 실적을 견인했다”며, “연간으로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LS에코에너지, 전력·통신사업 양날개..."사상 최대 실적 기대"
기사입력:2024-10-07 17:53:2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6.30 | ▲23.97 |
코스닥 | 729.69 | ▲3.61 |
코스피200 | 336.87 | ▲3.1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661,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508,500 | ▲500 |
이더리움 | 2,607,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00 | ▼160 |
리플 | 3,148 | ▼1 |
이오스 | 966 | 0 |
퀀텀 | 3,213 | ▼3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783,000 | ▼117,000 |
이더리움 | 2,608,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70 | ▼210 |
메탈 | 1,238 | ▼2 |
리스크 | 766 | ▼3 |
리플 | 3,149 | ▼2 |
에이다 | 1,004 | ▼5 |
스팀 | 234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690,000 | ▼160,000 |
비트코인캐시 | 509,000 | ▲1,000 |
이더리움 | 2,610,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90 | ▼220 |
리플 | 3,150 | ▼1 |
퀀텀 | 3,220 | ▼35 |
이오타 | 300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