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대전시는 부동산 개발업자의 제안이 아닌 지역사회와 노동자의 생존권을 먼저 지켜야 한다. 회생법원은 유성점 매각을 결코 승인해서는 안 된다. 정부는 지역사회와 노동자의 삶을 파괴하는 MBK의 행위를 즉각 중단시켜야 한다.”
8월 21일 홈플러스 유성점 재개발 논의가 확산되면서 노동계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홈플러스가 최근 15개 점포의 폐점을 발표한 지 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또 하나의 핵심 점포가 문을 닫을 위기에 처했다.
대전시는 최근 유성홈플러스 부지를 지하 3층, 지상 49층 규모의 주상복합 단지로 전환하는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조건부 수용’하는 방향으로 논의 중이다. 사실상 점포 폐점과 부동산 개발을 전제로 한 행정 절차가 진행되는 셈이며, 이는 지역 고용과 상권에 치명적인 공백을 초래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전시는 이번 계획을 ‘주민 제안 수용’이라 발표했지만, 실상은 홈플러스와 아무런 관련 없는 부동산 개발업자의 제안을 토대로 한 결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노조는 부동산개발업자와 사모펀드 MBK와의 연관성도 확인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유성점 재개발을 위한 폐점은 홈플러스 노동자들을 생존권의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으며, 상인들과 지역 주민들 역시 막대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는 이번 유성점 폐점을 단순한 점포 축소가 아닌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청산 경영 시도로 규정하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유성점은 대전의 핵심 상권이자 전국 매출 상위권을 기록하던 알짜 점포다. 특히 2022년 메가푸드마켓으로 리뉴얼하며 연면적과 실적 모두 전국 최상위권을 자랑했음에도 폐점 대상에 포함됐다.
홈플러스지부는 “이처럼 잘 되는 점포까지 닫겠다는 것은 적자 점포라서 폐점하는 것이 아니라, 잘 되어도 부동산 개발을 위해 닫는 청산형 경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측은 회생절차와 임대료 협상 실패를 이유로 들지만, 이는 기업가치를 스스로 훼손하며 회생 가능성을 더욱 낮추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대전 지역 홈플러스 점포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2021년 탄방·둔산점, 2022년 동대전점, 2024년 서대전점이 차례로 문을 닫았고, 최근 문화점도 폐점 수순에 들어갔다. 유성점까지 폐점된다면 대전에는 가오점 단 한 곳만 남게 되며, 이는 사실상 지역 철수에 해당한다는 게 노조의 분석이다.
노조는 또한 MBK가 전국적으로도 유사한 폐점 수순을 밟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구, 부산, 울산, 광주 등 주요 대도시에서 점포가 연이어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홈플러스의 유통망 자체를 해체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노조는 “20여 개 폐점 점포 중 단 한 곳도 재입점하지 않았다”며, 사측의 ‘재입점 가능성’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용산 대통령실 앞 무기한 노숙농성에 돌입했으며, 서울회생법원과 검찰청 방문을 통한 유성점 매각 중단과 MBK 김병주 회장에 대한 수사 촉구 활동도 전개할 예정이다. 또한 오는 9월 13일, 전국 동시다발 총궐기 대회를 예고하며 전국 단위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마트노조는 “지역경제와 유통 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싸움은 이제 전국의 문제”라며 “회생을 가장한 청산 경영에 맞서 홈플러스 노동자와 지역사회의 미래를 지키겠다”고 밝혔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홈플러스 유성점 폐점 수순…MBK의 청산 경영에 반발 확산
마트노조 “MBK는 회생 아닌 청산 시도…대전시는 개발업자 아닌 노동자 생존권 우선해야” 기사입력:2025-08-21 11:26:4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41.74 | ▲11.65 |
코스닥 | 777.24 | ▼0.37 |
코스피200 | 424.41 | ▲0.7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718,000 | ▼68,000 |
비트코인캐시 | 779,000 | ▼4,000 |
이더리움 | 5,991,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910 | ▼80 |
리플 | 4,059 | ▼14 |
퀀텀 | 3,279 | ▲8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720,000 | ▼160,000 |
이더리움 | 5,993,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950 | ▼50 |
메탈 | 1,022 | ▼6 |
리스크 | 536 | ▼3 |
리플 | 4,056 | ▼17 |
에이다 | 1,219 | ▼4 |
스팀 | 18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610,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779,500 | ▼1,500 |
이더리움 | 5,99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930 | ▼140 |
리플 | 4,057 | ▼15 |
퀀텀 | 3,221 | ▲11 |
이오타 | 27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