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대표이사 김연섭)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5분기 연속 매출 성장세를 실현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2024년 2분기 잠정실적(연결기준)을 집계한 결과 매출액 2,627억원, 영업이익 30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은 작년 동기(1,982억원) 대비 33%, 영업이익(15억원)은 100% 증가했다. 당기순이익도 8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2분기 역시 1분기와 마찬가지로 고객사 다변화 및 북미향 판매량 증가가 분기 최대 매출을 경신하는 요인이 됐다. 특히 북미 판매량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43% 증가하면서 큰 폭으로 성장했다. 일본 하이브리드용 동박 판매량도 증가폭이 두드러지며 올해 기준 해당 제품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분기는 전 분기 매출액(2417억원) 대비 9% 성장했고, 국제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재고자산 평가 효과와 글로벌 물류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43억원)은 30% 감소했으나 동박 업계 유일 흑자를 지속했다. 부채비율은 31.2%으로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업계 최고 수준의 재무 안정성과 순현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차세대 배터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Capex(자본적 지출) 여력도 보유하고 있다.
하반기 실적은 전방산업의 약세와 미국 대선 등 정책 변동성 확대로 일시적 매출 성장 둔화가 예상됨에 따라 글로벌 고객사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전기차용 동박뿐만 아니라 ESS, 하이브리드, AI 반도체 등 고부가 제품 개발 및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신규 해외 사업장의 경우 글로벌 고객사 신공장 증설 스케줄에 맞춰 추진한다. 여전히 북미와 유럽 시장은 고성장이 기대되는 지역인 만큼 대외 변수를 최소화하고 글로벌 정책 변동성을 감안해 탄력적으로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프로젝트의 수익성과 경제성을 면밀히 분석한 후에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업계 최초로 AI가속기 향 HVLP4(Hyper Very Low Profile)급 차세대 ‘초저조도박’ 제품의 공급이 가시화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AI가속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용 동박은 HVLP3세대 이하 모델이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국내 회로박 M/S 1위 기업으로서 상반기에 국내 고객사를 통해 HVLP4급 차세대 제품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했고, 올해 하반기 중에 북미 최종 고객사의 품질 테스트까지 통과하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차세대 AI가속기에 당사 제품이 공급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이사는 “현재 시장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지만 고객 중심 활동과 기술력 선도, 글로벌 거점 전략 지속 추진, 고부가 제품 개발 등을 필두로 High-End 마켓 리더십을 확보해 기업가치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2분기 영업익 30억..."전년 대비 100% ↑"
기사입력:2024-08-06 20:31:5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49,000 | ▼660,00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7,000 |
이더리움 | 2,602,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190 |
리플 | 3,150 | ▼23 |
이오스 | 1,059 | ▼24 |
퀀텀 | 3,156 | ▼1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07,000 | ▼723,000 |
이더리움 | 2,602,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60 | ▼210 |
메탈 | 1,190 | ▼8 |
리스크 | 771 | ▼4 |
리플 | 3,147 | ▼26 |
에이다 | 1,005 | ▼5 |
스팀 | 21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20,000 | ▼650,000 |
비트코인캐시 | 526,500 | ▼7,500 |
이더리움 | 2,602,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80 | ▼230 |
리플 | 3,150 | ▼23 |
퀀텀 | 3,160 | ▲11 |
이오타 | 30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