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1개 환경운동연합, 공공청사 내 1회용 컵 사용실태 조사 그 결과는?

환경부 청사 내 1회용컵 사용률 30% 넘어…가장 높은 지역 '울산 중구청 기사입력:2024-07-29 09:20:00
[로이슈 전용모 기자]
전국환경운동연합 지방자치단체 1회용 컵 모니터링.(제공=환경운동연합)

전국환경운동연합 지방자치단체 1회용 컵 모니터링.(제공=환경운동연합)

이미지 확대보기


전국 21개 환경운동연합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청사 내 1회용컵 사용 실태를 조사하는 활동을 벌인 결과, 총 31군데에서 3일간의 점심 시간(12:00-13:00)동안 4만3320명이 1만649개의 1회용컵을 사용한 결과가 나왔다고 29일 밝혔다.

「공공기관 1회용품 등 사용 줄이기 실천 지침」의 제 3조 1항에 따르면 ‘공공기관은 공공기관의 청사에서 또는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회의나 행사에서 1회용품, 페트병, 우산 비닐 등의 제품을 구매⋅사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청사 내 1회용컵 반입을 금지하고 있는 곳도 있으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4명 당 1개(24.8%)의 1회용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1회용 컵 사용률을 살펴보면 △영남권 28.7% (12,860명 3,685개) △수도권 23.3% (16,080명 3,738개) △호남권 22.9% (9,950명 2,274개) △충청권 21.9% (4,357명 952개) 순이었다.

-1회용컵 사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광역시로 울산 중구청에서 71.3% (122명 87개)를 기록하며 가장 낮은 지역과 약 34배의 차이를 보였다. 이에 더해 1회용품을 규제하고 사용을 줄이는 모습을 선도적으로 보여줘야 할 주무부처인 환경부마저도 평균을 웃도는 30.4%를 기록하며 10명 중 3명 이상이 1회용컵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에 1회용컵 사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당진시(2.1%)와 전북특별자치도(3.9%)로 각각 2024년 6월 17일, 2024년 4월 1일부터 청사 내 1회용컵 반입을 금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공기관 내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1회용품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국내 1회용 플라스틱 컵의 연간 소비량은 2017년 33억개에서 2020년 53억개로 증가했다. 대표적인 1회용품인 비닐봉투 (235억개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510,000 ▲412,000
비트코인캐시 533,500 ▲500
이더리움 2,659,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320 ▲20
리플 3,216 0
이오스 983 ▲3
퀀텀 3,150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600,000 ▲493,000
이더리움 2,660,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350 ▲50
메탈 1,219 ▲1
리스크 792 ▲4
리플 3,219 ▲1
에이다 1,016 ▲1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500,000 ▲370,000
비트코인캐시 535,000 0
이더리움 2,656,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290 0
리플 3,215 ▼3
퀀텀 3,153 ▲51
이오타 30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