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전국 21개 환경운동연합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청사 내 1회용컵 사용 실태를 조사하는 활동을 벌인 결과, 총 31군데에서 3일간의 점심 시간(12:00-13:00)동안 4만3320명이 1만649개의 1회용컵을 사용한 결과가 나왔다고 29일 밝혔다.
「공공기관 1회용품 등 사용 줄이기 실천 지침」의 제 3조 1항에 따르면 ‘공공기관은 공공기관의 청사에서 또는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회의나 행사에서 1회용품, 페트병, 우산 비닐 등의 제품을 구매⋅사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청사 내 1회용컵 반입을 금지하고 있는 곳도 있으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4명 당 1개(24.8%)의 1회용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1회용 컵 사용률을 살펴보면 △영남권 28.7% (12,860명 3,685개) △수도권 23.3% (16,080명 3,738개) △호남권 22.9% (9,950명 2,274개) △충청권 21.9% (4,357명 952개) 순이었다.
-1회용컵 사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광역시로 울산 중구청에서 71.3% (122명 87개)를 기록하며 가장 낮은 지역과 약 34배의 차이를 보였다. 이에 더해 1회용품을 규제하고 사용을 줄이는 모습을 선도적으로 보여줘야 할 주무부처인 환경부마저도 평균을 웃도는 30.4%를 기록하며 10명 중 3명 이상이 1회용컵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에 1회용컵 사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당진시(2.1%)와 전북특별자치도(3.9%)로 각각 2024년 6월 17일, 2024년 4월 1일부터 청사 내 1회용컵 반입을 금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공기관 내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1회용품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국내 1회용 플라스틱 컵의 연간 소비량은 2017년 33억개에서 2020년 53억개로 증가했다. 대표적인 1회용품인 비닐봉투 (235억개
전국 21개 환경운동연합, 공공청사 내 1회용 컵 사용실태 조사 그 결과는?
환경부 청사 내 1회용컵 사용률 30% 넘어…가장 높은 지역 '울산 중구청 기사입력:2024-07-29 09:20: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04.42 | ▼117.32 |
| 코스닥 | 901.89 | ▼24.68 |
| 코스피200 | 565.40 | ▼16.5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861,000 | ▲564,000 |
| 비트코인캐시 | 725,500 | ▲3,500 |
| 이더리움 | 4,958,000 | ▲2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500 | ▲60 |
| 리플 | 3,341 | ▲19 |
| 퀀텀 | 2,522 | ▲4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927,000 | ▲660,000 |
| 이더리움 | 4,954,000 | ▲1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490 | ▲80 |
| 메탈 | 592 | ▲2 |
| 리스크 | 264 | ▼1 |
| 리플 | 3,342 | ▲22 |
| 에이다 | 795 | ▲3 |
| 스팀 | 110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810,000 | ▲660,000 |
| 비트코인캐시 | 724,500 | ▲3,000 |
| 이더리움 | 4,958,000 | ▲2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530 | ▲70 |
| 리플 | 3,343 | ▲19 |
| 퀀텀 | 2,516 | ▼41 |
| 이오타 | 191 | ▼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