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이슈] 롯데마트∙슈퍼, 새롭게 모인 ZRT 2기 출범 外

기사입력:2024-01-09 09:39:40
[로이슈 편도욱 기자] 롯데마트와 슈퍼의 비전 홍보를 위해 Z세대가 새롭게 뭉쳤다.

최근 Z세대(90년대 중반 ~ 00년대 초반 출생 세대)가 주요 소비층을 담당하게 되면서, 유통업계에서는 Z세대를 타깃으로 한 팝업스토어와 같은 체험형 콘텐츠나 마케팅 전략 등을 시행하고있다. 미래 소비 권력을 가진 Z세대를 선제적으로 사로잡아야 추후 핵심 고객층 확보에 이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에 롯데마트와 슈퍼는 지난달 21일(목) Z세대 대학생들로 이뤄진 싱크탱크 프로그램 ‘ZRT(gen Z Round Table)’ 2기를 출범했다. ‘ZRT’란 Z세대의 소비 인사이트(통찰력)를 얻고자 지난 22년 말 대형마트 업계 최초로 선보인 프로그램으로, 체계적인 실무진 멘토링 과정과 자신들이 낸 아이디어를 직접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Z세대 대학생들로부터 큰 관심을 모았다.

이번 ZRT 2기는 롯데마트와 슈퍼의 ‘No.1 GROCERY MARKET’ 비전 달성을 위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는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 ZRT 2기는 Z세대와 밀접한 'AI 활용'과 '1~2인가구 공략'이라는 두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각 2개팀씩 총 4개팀이 참여해 오는 3월 7일(목)까지 3개월간 오프라인 매장 경쟁력을 높이는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더불어 Z세대의 아이디어에 전문성을 더하고자 각 소속 팀장이 사내교육을 담당하고 멘토링 또한 경력 10년차 이상의 실무진으로 구성했다.

또한, 롯데마트와 슈퍼는 우수 아이디어로 선정된 팀에 장학금 지원과 해당 아이디어를 현실화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우수 2개팀에는 각 500만원, 300만원의 장학금이 제공되며, 해당 팀 아이디어의 경우 자신들의 아이디어가 펼쳐질 수 있게끔 기획, 예산, 기대효과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 현업 반영 가능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한편, 롯데마트와 슈퍼는 지난해 ZRT 1기를 시행해 마트 방문객 수를 높이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지난해 9월 롯데마트 양평점에서는 ESG 브랜드 '리얼스(RE:EARTH)'에 대한 우수 홍보 아이디어로 선정된 '청년 작가 전시회'를 진행했다. 해당 전시회는 신진 작가들의 작품 전시와 '리얼스(RE:EARTH)' 굿즈 판매, 가족 참여 프로그램을 제공해 그동안 마트에서 볼 수 없었던 이색 참여 콘텐츠를 선보였다. 그 결과, 전시회가 진행된 2주(23.09.11~23.09.30)간 양평점의 객수는 전년 대비 약 10% 증가했다.

강산 롯데마트∙슈퍼 브랜드전략팀 담당자는 “미래 핵심 고객층인 Z세대가 직접 고안한 아이디어를 통해 롯데마트와 슈퍼를 방문하는 젊은 고객들의 수를 늘리고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 또한 높이고자한다”며, “ZRT의 활동은 SNS를 통해 모두 공유되는 만큼 앞으로 남은 활동에 대해 많은 관심 부탁드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산시설공단, 공기업 최초“혁신성장플랫폼” 운영

부산시설공단(이사장 이성림)이 공기업 최초로 혁신성장플랫폼을 구축했다.

수년째 운영해온 연구개발(R&D) 제안창구를 확장하고 ‘우수실증제품홍보관’을 추가하는 등 개선과정을 거친 결과다.

지난 2020년 4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기존 연구개발(R&D) 제안창구는 연구개발과 관련된 기업의 제안을 접수받아 심의를 거쳐 채택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공단은 이를 개선해 공단이 필요한 수요기술을 먼저 공개하고 연구개발 구축 우수사례를 소개하여 지역기업이 제안하기 쉬운 환경으로 조성했다.

신규로 개설된 ‘우수실증제품홍보관’은 공단에서 실증한 부산 창업기업제품과 조달청 혁신시제품 가운데 우수한 기술(제품, 서비스)에 대해 기능, 장점, 가격 등 제품소개와 만족도, 재구매 의사 등 세부적인 사용후기와 제품개발 기업명까지 누리집(홈페이지)에 게재하는 등 적극적인 홍보 지원을 한다.

◆영등포구, 다자녀 출산가구 300만원 지원

영등포구(구청장 최호권)가 올해부터 저출산 지원 대책으로 다자녀 출산 가구에게 ‘첫만남 이용권’ 지원금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첫만남 이용권은 자녀 출생 초기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사업으로, 국민행복카드 바우처(포인트)로 일시금이 지급되며 유흥업소, 레저업종 등 지급 목적에서 벗어난 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사용 가능하다.

당초 첫만남 이용권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신고된 출생아에게 출생순위와 상관없이 일괄 200만 원씩 균등 지급되었지만, 올해부터 첫째아 200만 원, 둘째아 이상은 300만 원으로 금액을 확대 지원한다.

또한, 영아의 양육비 부담을 덜기 위해 작년부터 시행한 부모급여의 지원금도 올해부터 0세 아동(0개월~11개월)은 월 70만 원에서 100만 원, 1세 아동(12개월~23개월)은 월 35만원에서 월 50만 원으로 증액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0.81 ▲22.74
코스닥 821.69 ▲1.02
코스피200 434.56 ▲3.4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64,000 ▲60,000
비트코인캐시 717,500 ▼4,500
이더리움 5,184,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33,230 ▼440
리플 4,908 ▲27
퀀텀 3,503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11,000 ▲9,000
이더리움 5,18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33,240 ▼350
메탈 1,175 ▼9
리스크 681 ▼2
리플 4,906 ▲23
에이다 1,241 ▼1
스팀 21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80,000 ▼70,000
비트코인캐시 715,500 ▼7,000
이더리움 5,18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3,240 ▼480
리플 4,910 ▲23
퀀텀 3,501 ▼24
이오타 336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