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과기부 산하 출연 연구기관과 과학기술원들이 국가 R&D 과제를 수행하면서 연구실험 데이터 관리엔 무관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일 더불어민주당 정필모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 과기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R&D 연구 데이터 저장소인 repository를 구축한 기관은 4대 과학기술원 중 KAIST가 유일했다. 출연연의 경우 25곳 가운데 17곳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다수 기관이 repository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국가 연구 데이터 플랫폼(Data ON)에 연계한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Data ON을 운영한지 4년 가까이 됐지만 이 플랫폼에 연구 데이터를 연계한 출연연은 한국천문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한의학연구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5곳 뿐 이었다.
4대 과학기술원의 경우 단 한 곳도 연계하지 않았다. 4대 과학기술원은 올 연말까지 KAIST를 중심으로 연구 데이터 연계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Data ON은 연구실험과정에서 생산된 데이터를 수집·관리하고 있다. 연구자 간 데이터 공동 활용과 연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지난 2020년 시작됐다.
연구 데이터를 생산·보존하고 활용키 위한 계획인 데이터 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 수립도 지지부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DMP는 과제 수행 시 연구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꼭 필요한 요소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019년 9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DMP 정의와 제출 사항 등을 반영한 바 있다.
출연연별로 살펴보면, 2023년 상반기 국가R&D과제 DMP 수립 비율이 50%를 넘는 경우는 전체 25곳 중 14곳에 불과했다. 녹색연·표준연·기계연·재료연 등 4곳은 DMP를 수립한 과제 자체가 없었다.
4대 과기원의 경우 연구 데이터의 관리 수준은 전체 출연연 평균보다 훨씬 더 낮았다. KAIST는 2023년 상반기 1829건의 국가R&D과제를 수행하면서 단 87건만 연구 데이터 관리 계획을 제출해 DMP 수립 비율이 4.8%에 그쳤다. UNIST는 DMP 수립 비율이 6.6%에 불과했다. 게다가 GIST는 1.8%, DGIST의 경우도 1.7%로 DMP 수립 비율이 2%도 채 안됐다.
과기원들은 국가R&D과제 중 중앙행정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만 DMP를 수립한다고 말했다. 데이터 관리 계획 수립을 확대하거나 의무화하지 않는 한 과제를 수주한 기관이 이를 따를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원으로 R&D 과제를 수행하는 만큼 기관들 스스로 연구 데이터를 공공 자산으로 인식해 책임감 있게 관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울산과학기술원의 경우 일부이긴 하지만 자체 연구 사업 29개를 대상으로 DMP를 시범 적용하는 등 개선 노력을 했다.
정필모 의원은 “연구 결과 뿐만 아니라 연구 과정의 데이터를 개방하는 오픈 사이언스 정책이 세계적 추세다”며 “우리나라도 DMP, Data ON 등 연구 데이터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연구 데이터 연계·활용에 앞장서야 할 기관들의 참여가 매우 저조한 현실이다”고 꼬집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정필모 “4대 과기원·출연연, 연구 데이터 관리는 나 몰라라 했다”
기사입력:2023-10-06 14:49:1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375,000 | ▲253,000 |
비트코인캐시 | 532,500 | ▼500 |
이더리움 | 2,599,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00 | ▲50 |
리플 | 3,172 | ▲9 |
이오스 | 977 | ▲4 |
퀀텀 | 3,117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34,000 | ▲343,000 |
이더리움 | 2,60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20 | ▲70 |
메탈 | 1,216 | ▲4 |
리스크 | 790 | ▼0 |
리플 | 3,174 | ▲9 |
에이다 | 992 | ▲2 |
스팀 | 21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40,000 | ▲330,000 |
비트코인캐시 | 531,500 | ▼2,500 |
이더리움 | 2,599,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80 | ▲170 |
리플 | 3,174 | ▲11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